국내의 논란이 중심이 아니라
일본의 성의 있는 사과와 이행이
쟁점이 돼야 한다고 본다.
그러기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우리가 일본에게 요구하는 것은
성의 있는 사죄와 이행
그리고 일본 내의 변화다

 

▲ 김 일 교사/은혜중학교

2015년 12월 28일 ‘한일외교장관회담’에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에 대한 합의가 타결됐다고 선언했다. 이 위안부문제에 대한 합의는 많은 논란을 가져왔고 앞으로도 끝나지 않는 숙제로 남을 것이다.

‘위안부’는 국제관계에서 저마다 다른 시각을 갖고 있다. 대한민국정부는 북한에 대한 대응, 동아시아의 정세 그리고 국제적인 정치·경제 질서의 다변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한·일관계의 문제해결이 필요하다. 이에 1945년 8월 15일 광복이후 끊임없는 노력을 해오고 있다. 하지만 위안부문제는 언제나 끝나지 않는 숙제일 수밖에 없다.

미국은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대한민국과 일본의 역할이 중요하다. 특히 일본의 역할이 커졌는데 이를 위해 한·일간 위안부문제 해결이 필수적일 수밖에 없다.

중국은 중국 내 위안부문제, 남경대학살, 731부대 등 일제 침략의 피해자다. 즉, 대한민국의 위안부문제 해결은 중국 내 일제침략의 피해자문제 해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위안부 문제는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을 견제하는 도구이기도 하다.

일본은 중국의 성장에 따른 동아시아 질서의 재편은 미·일 동맹을 강화하게 됐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사회에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그 근거는 ‘평화헌법’의 수정을 통한 UN군 파견을 들 수 있다. 더 나아가 일본은 UN의 안전보장이사회국으로 들어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성노예로 만든 비인권적인 행위인 위안부문제는 커다란 걸림돌이고 그렇기 때문에 위안부문제의 해결이 매우 중요할 수밖에 없다. 지난해 말 한일외교장관회담의 합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위안부 피해자를 다룬 ‘평화의 소녀상’ 이전과 철거에 열을 올리는 것은 그 이유가 있다. 소녀상은 일본의 비인권적인 모습을 대변하고 있는 상징물이기 때문이다. 이 소녀상이 철거된다는 것은 일본의 비인권행위를 정당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피해자인 위안부 할머니들에게는 평생의 트라우마다. 피해자들은 일본의 공식적이고 성의 있는 사과와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일본은 1965년 한·일 협상을 이유로 거부하고 있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위안부는 시간 속에서 퇴색되어 가고 있다. 또한 불안한 경제는 그들의 트라우마 보다 국익이 먼저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현재 위안부 할머니는 46명이 생존하고 있다. 그분들이 모두 돌아가시면 일본에게는 사라진 사실 즉 식민지배의 정당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몇 년 전 논자는 ‘기억, 전승 그리고…’라는 주제로 열린 한·중·일 역사포럼에 참가한 적이 있다. 포럼에 참가하면서 논자가 본 것은 일본의 논리다. 참석자들은 이렇게 말했다. “개인적으로 식민 지배를 반성하고 사죄합니다. 이것은 공식적인 입장이 아닌 저의 입장입니다. … 저희가 식민지배의 가해자입니다. 하지만 저희도 피해자입니다. 원폭의 피해를 입은 피해자입니다” 그들의 논리를 보며 인류학자 루스 베네딕트가 저술한 <국화와 칼>이라는 책속의 일본의 이중성을 볼 수 있었다.

현재 한일외무장관회담에서의 위안부문제의 합의를 보며, 논자는 국내의 다양한 논란을 보며 우리의 관점이 다시 정립돼야 된다고 본다. 국내의 논란이 중심이 아니라 일본의 성의 있는 사과와 이행이 쟁점이 돼야 한다고 본다. 그러기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우리가 일본에게 요구하는 것은 성의 있는 사죄와 이행 그리고 일본 내의 변화다. 이를 통해 새로운 관계를 정립하고 국제사회의 성원으로의 올바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위안부할머니들의 아픔과 고통 그리고 트라우마를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이것이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들의 역할이 아닐까 생각한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