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도 버림받지 않는
사회를 만드는 것은
우리 모두의 책임입니다.
‘누구나 열심히 일하면
행복해질 수 있는 사회’
더 큰 사회,
‘빅 소사이어티’를 꿈꾼다

 

   
▲ 김은숙 실장/평택복지재단

세상을 바꾸려는 사람! 세상을 보다 더 가치 있게 만들려는 사람! 모든 사람이 변화의 창조자가 될 수 있다고 믿는 사람인 아쇼카 재단의 창업자 빌 드레이튼은 “이 세상은 1만여년 동안 소수에 의해 움직여 왔지만 더 이상 소수의 엘리트가 세상을 주도할 수 없고 모든 사람이 변화를 주도하는 세상에 살게 될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지역의 특별한 상황으로 빈곤이 고착되거나, 범죄율이 높은 상황을 특정지역으로 제한하거나, 사회적 운동으로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범지역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더 큰 세상인 사회적 기업을 꿈꿀 수 있다.

사회적 기업은 더 큰 사회 ‘빅 소사이어티’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기존의 정부와 시장시스템이 해결할 수 없는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자유시장주의로 인한 빈곤의 고착화, 빈약한 주거시설, 사교육 활성화와 공교육 침체, 불안정한 보건시스템, 환경적인 위협, 정치조직에 대한 불신, 높은 범죄율, 고령화, 기후변화, 다양성, 지속가능성 등과 같이 힘든 문제를 해결하고 정부와 시장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우리나라에서도 사회적 기업이 대안으로 등장하고 있다.

빅 소사이어티를 지향하는 ‘사회적 기업’은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해 지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 목적을 추구한다. 사회적 기업은 1970년대부터 활동하기 시작한 유럽, 미국 등 선진국에 이어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07년 7월부터 고용노동부주관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평택시에는 모두 4개의 사회적 기업과 5개의 예비사회적 기업이 활동하고 있다.

사회적 기업은 사회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복지제도의 사각지대에 대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정부 기관이 모든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통적인 복지국가는 재정부담이 심하며, 영리기업은 사회서비스 부문의 수익성이 낮기 때문에 사업 진출에 다소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이에 전통적인 복지국가와 영리기업만으로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는 어려움이 많을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한 대안인 사회적 기업은 부의 재분배효과를 추구할 수 있으며, 정부의 정책이 담당하지 못하는 사회적 욕구를 가지고 있는 한계집단에게 사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기업은 국가와 기업의 지원, 지역사회의 기부, 자원봉사 등을 결합해 저소득층 취약 계층에게 사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회적 기업은 전통적인 비영리조직과 다르다. 사회적 기업은 영리기업이 고용할 가능성이 낮은 여성, 장애인, 이주외국인, 북한이탈주민 등을 근로집단으로 채용하며 새로운 고용을 창출할 수 있다. 또 취약계층을 고용함으로써 노동보호와 더불어 사회보장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기업의 운영은 장기적으로는 고용창출로 높은 서비스의 역동성을 강화해 지속적인 고용 기반을 마련하고 국가의 생활보호대상에서 탈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최근 유럽의 복지국가에서 차별, 저임금, 열악한 주거, 장애나 질환 등 가정 붕괴로 고통을 받아 사회적으로 배제된 집단을 돕기 위한 서비스의 제공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사회적 기업은 현금급여와 규격화된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대신 다양한 지역사회 특정 집단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회서비스의 제공 이외에도 환경개선, 문화, 교통 등 다양한 사업을 통해 지역사회의 통합을 위해 기여할 수 있다. 지역사회에 기반을 두고 자원봉사와 시민참여를 통해 사회적 연대성과 상호부조를 강조하여 사회적 신뢰를 강화하고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적 자본을 창출한다.

특히 사회적 자본은 쓰면 쓸수록 더 커지는 확대 재생산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 즉 사회적 기업이 지역 내에서 호혜적인 관계망을 구축해 지속적인 협력 체제를 갖춰나간다면 이는 사회적 자본을 창출하고 있는 셈이다. 사회적 기업의 활동이 활발해질수록 지역사회 내 구성원들의 신뢰는 강화될 수 있다. 이는 몇 명의 소수가 아니라 변화를 추구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커다란 관계망을 통해 다수가 참여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는 평택시의 공동체의식을 고취하고 향후 지방정부의 부담을 민간에서 공유하는 시스템 구축을 통해 빅 소사이어티를 향해 나아가는 길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