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선비의 집에 아리따운 아가씨가 찾아와 대문을 두드렸다. 선비가 대문을 열자 그 아가씨가 말한다. “나는 공덕천 이라고 하는데 당신 집안에 행복한 일과 많은 재물을 가져다주며 행운이 따르는 좋은 일만 가져다주는 사람이다”라고.  그 말을 들은 선비는 너무나 기쁜 나머지 그 여인에게 “어서 들어오라”고 손짓을 했다. 그런데 그 여인 뒤로 검은 옷을 입은 아주 험상궂은 여인이 뒤따라 들어오는 게 아닌가. 놀란 선비가 그 여인을 가로막으며 “누구냐?”고 묻자 여인이 차가운 미소를 띠며 말한다. “나는 흑암녀라고 하는데 나는 당신 집안에 좋지 않은 일이나 불행한 일만 가져다주는 사람입니다” 그 말을 들은 선비가 불쾌한 표정을 지으며 그녀를 내쫓으려고 하자 그녀가 또 다시 말을 한다. “나는 공덕천 언니와 늘 함께 다니는 자매로서 떨어지려야 떨어질 수 없는 관계를 갖고 있답니다” 그녀의 말을 들은 선비는 두 여인 모두를 집안으로 들이지 않고 거절을 했다.
불교경전에 나오는 글이다. 이 글에서처럼 행복과 불행은 그림자처럼 늘 함께 붙어있다. 그래서 항상 행복과 불행이 수십 번씩 교차하는 하루의 삶을 살고 있는 것이다. 행복감에 취해있다 보면 어느 샌가 불행이 찾아오고 또 행복이 다가온다. 그렇게 행·불행이 쉼 없이 반복되면서 기뻐하기도 하고 때론 슬픔에 잠겨있기도 한다. 환경에 따라 마음이 수시로 변하는 것이다. 이를 두고 흔히 우리는 ‘인생만사(人生萬事) 새옹지마(塞翁之馬)’라고 했던가. 변방에 사는 촌로가 좋은 일이 생겨도, 불행한 일이 생겨도 그 어떤 상황에 처해도 마음이 흔들리지 않고 담담하게 받아들였다는 고사다.
사람은 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행복과 불행이 교차되는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는 자연인이다. 특히 다른 동물과는 달리 집단생활을 하며 혼자서는 살 수 없는 사회적 동물이기도 하다. 그래서 누구에게나 본인의 뜻과는 달리 인생의 기복이 찾아오게 되는 것이다. 언제나 행복만을 느끼며 살 수 없고 또 불행한 삶만을 살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어둠이 있으면 빛이 있고 흐린 날이 있으면 밝은 날도 있다. 따라서 오르막길이 있으면 내리막길도 있게 마련이다. 논어에 ‘고기양단(叩基兩端)’에 대한 글이 있다. 이 글에서 공자는 이렇게 말하고 있다. “내가 아는 것이 있겠느냐. 나는 아는 것이 없느니라. 다만 비천한 사람이라도 진실하게 내게 무엇인가를 물어오면 나는 그 물음의 양쪽 끝을 두드려주는데 전력을 다할 뿐이다” 공자는 사물과 사건을 해석하고 새로운 발전을 하는데 있어 양쪽 끝을 두드리는 방법을 사용했다. 이는 이쪽과 저쪽, 최상과 최하, 중심과 주변 모두를 찬찬히 관찰하고 연구함으로써 해법을 찾아낸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사회발전의 동력을 찾아내고 개인이 새롭게 변신할 수 있는 기회 역시 여기에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이런 기회도 마음을 먹는다 해도 뜻대로 이루어지는 것만은 아니다. 왜 안 되는지 그 이유가 무엇인지 쉽게 알았다. 답은 ‘만남의 관계’다. 사람은 반드시 상대적 관계를 갖는 존재다. 그래서 사람을 인간(人間)이라고 지칭하는 것이다. 사람은 그 같은 관계를 통해서 공존하며 성숙되어지는 것이다. 그런 ‘만남의 관계’를 잘 맺고 유지하는 일은 우리의 삶의 과정에서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어떤 만남의 관계가 되느냐에 따라 본인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행·불행이 뒤따르기 때문이다. 요즘 대선과 관련, 여야 예비주자들의 정책공약이 시끄러운데 남의 험담을 서슴없이 내뱉는다. 잘못 놀리는 혀가 목숨까지도 잃을 수 있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들처럼 말이다. 그 순간, 그것도 잠시 한때 권세를 누리다가 영어(囹圄)의 몸이 되거나 검찰에 불려 다니는 정치인들을 보면서 느껴지는 게 있다. 아무리 좋은 일이 있을 때도 너무 들떠서도 안 되고 아무리 어려운 일이 있어도 낙심하지 않고 좋은 때나 나쁠 때나 언제나 태연한 자세로 받아들이는 마음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낯익은 얼굴들이 떠오르면서 입가에 냉소가 스치고 지나간다.
똑똑하고 유능한 그들, “가짜는 어디에든 있어도 공짜란 어디에도 없다는 걸 왜 몰랐을까. 물고기가 미끼에 걸리면 목숨까지도 잃는다는 것을 알았더라면 저렇게 패가망신은 당하지 않을 텐데” 두 가지만 말하고 정리하고자 한다. 하나는 권력과 인기는 왕관과도 같다는 것이다. 쓰기 전에는 화려해보이지만 막상 쓰고 나면 머리가 아프다. 그리고 그런 왕관은 결국은 벗어야 하고 자칫 목숨까지도 잃을 수 있다. 이 세상을 살아가다 보면 권력과 재물, 그리고 명예보다 더 귀한 게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둘째는 인간의 관계는 고슴도치와 같다. 흔히 인간관계를 고슴도치가 모여 사는 것에 비유하기도 한다. 너무 가까이 붙으면 서로 가시에 찔려 상처가 나고, 너무 떨어져 있으면 춥고 외롭고 해서 서로 찔리지 않을 만큼 적당한 거리를 두고 살아야 한다고. 그래서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적당한 관계의 지혜가 필요한 것이다. 바람직한 인간관계란 너무 멀리 떨어져 외면당하지 않고, 너무 가까워서 상처받지 않을 적당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다. 행복과 불행은 손등과 손바닥처럼 붙어있다. 어느 쪽으로 돌리느냐에 따라 달라질 뿐이다.

 

 

 

 

深頌 안 호 원
한국심성교육개발원장
심리상담사, 시인, 칼럼니스트
 

·본 란은 외부에서 기고해 주신 글을 싣는 곳으로 본지의 편집 의도와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