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차원에서 정확한
후속조치가 필요하다.
찬반입장이 엇갈리고 있어
학교 현장의 목소리를
중점적으로 수렴해야 한다

 

 
▲ 최성경/태광고2
seongkyeong00@gmail.com

지난 6월 14일 교육부는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제안에 따라 중3과 고2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일명 일제고사를 전수평가에서 표집평가로 전환한다고 밝혔다. 모든 학생이 아닌 일부 학생들만 치르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시행일이 촉박한 관계로, 20일에 예정된 올해 평가는 교육부가 선정한 표집학교 대상으로 시행하고, 그 외 학교는 시·도 교육청의 자율적인 결정에 따라 시행된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는 전국 학생의 학업성취도 추이분석과 기초학력 지원 등 기초자료 수집을 위해 1986년부터 시행되었다. 하지만 2008년부터 전수평가로 전환되면서 목적과는 달리 학교서열화, 성적지상주의에 의한 과열 경쟁을 부추긴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사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는 학생들 보다 교사들에게 큰 부담이 된다. 학생들에게는 평가결과가 입시 성적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학생들이 대충 시험을 볼 경우 낮은 평가결과로 학교가 서열화 되어 ‘수준 낮은 학교’가 되기 때문에 교사와 학교 입장에서는 매우 난처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시험 직전 문제집을 풀게 하고, 이 평가로 인해 학교의 수준이 결정된다는 등 학생들에게 여러 압박이 가해지는 것이다. 이를 통한 한가지의 장점은 교사들이 미달 학생에 대해 관심을 가진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도 일시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큰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없다.

일제고자 폐지를 반대하는 입장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개인별 피드백’이 부족해질 것이라고 우려한다. 하지만 사실 이 문제는 일제고사 폐지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결과는 학교 단위로 공시하며 절대평가 방식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개별적 피드백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개인별 피드백은 전국연합학력평가를 통해서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에 일제고사 폐지로 개인별 평가가 부족해질 것이라는 말은 타당하지 않다.

하지만 급작스럽게 이루어진 만큼 교육 현장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국가 차원에서 정확한 후속 조치가 필요하다. 이번 시험을 교육청 자율로 시행하게 했으나, 일부 교육청에서 학교 자율로 시행하라는 지시로 인해 학교 차원에서 혼란을 겪기도 했다. 또한 아직까지도 일제고사폐지에 대해 찬반입장이 엇갈리고 있어 학교 현장의 목소리를 중점적으로 수렴해야 한다.

또한 기초학력 미달 학생들에 대한 지속적인 추가 교육이나 지원이 필요한 것은 사실이니 이것을 해결할 실질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특히 의무교육인 초등학교와 중학교 기초학력 미달학생에 대해서 학교 차원에서도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