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나 자신을 용서하는 일이다.
자신을 사랑해야만
다른 사람도
사랑할 수 있다

 

 
▲ 맹광주 이사
평택시사회복지협의회

우리는 인생을 살아가면서 수많은 상처를 입고 살아간다. 세상 어느 누구도 상처를 받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또한 상처를 주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도 없다고 생각한다.

어쩌면 매일 밥을 먹듯이 매일 상처를 먹으며 살아간다고 볼 수 있다. 다만 그 상처투성이인 밥을 어떻게 소화시키느냐 하는 문제가 있을 뿐이다. 밥 없이 살 수 없듯이 상처 또한 받지 않고 살아갈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상처는 친밀감을 먹고 산다. 때문에 주변에 친한 사람들, 그것도 가장 가까운 사람에게서 가장 큰 상처를 받는다. 부모와 자식, 남편과 아내, 형제와 자매들 사이에서 가장 깊고 아픈 상처를 입게 되는 경우가 많은 것도 그 때문이며 의도되지 않은 것에서도 받을 수 있다.

삶이 고통스러운 것은 남보다 가진 것이 없고 생활이 어려워서라기보다 그 상처에서 오는 고통 때문인 경우가 많다. 그 고통을 가슴에 안고 어떻게 해야 하나 괴로워하며 살아가는 것이 인생살이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우리 모두는 크고 작은 상처투성이 속에서 전전긍긍하며 하루하루를 살아간다. 잊고 있다가도 어느 한 순간 상처의 불길이 가슴 속에서 요동치면 그 고통이 참기 힘들다.

송봉모 신부가 쓴 <상처와 용서>는 마치 성서를 읽는 느낌이다. 비록 작은 문고판이지만 상처를 극복하고 치유하는데 무엇보다 값진 책이기도 하다. 그 책에서는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용서 외에 다른 길이 없다. 용서한다는 것은 추상적인 행위가 아니라 구체적인 의지의 행위이며 용서한다고 일단 의지를 세우고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말한다. 용서하겠다는 의지를 세우고 입 밖으로 용서한다고 말을 했다 하더라도 그 뒤에 자꾸 마음이 괴로워지는 것은 인간으로서 당연한 일이므로 그것은 신의 몫으로 맡길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나 자신이 용서하겠다는 의지가 있느냐 없느냐에 달려 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누군가를 용서하겠다는 마음의 의지를 세워본 적이 있는가. 상처 준 사람들을 증오하고 같이 상처를 주려고 한 사람은 많지만 그를 용서하겠다고 결단을 내려 본 적이 있는가.

생각해보면 나는 제대로 된 용서를 하지 못한 것 같다. 내가 그랬을 진데 하물며 내게 상처받은 사람들은 나를 용서했을까. 용서하기 위해서는 먼저 나 자신을 용서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지만 그것은 이성과 지성의 습득일 뿐, 정말 그것이 어떠한 것인지, 또 왜 그렇게 해야만 하는지는 알 수 없다.

내가 나 자신을 어떻게 용서한다는 말인지 생각해보게 된다. 그리고 그 답을 다행히 <상처와 용서>라는 책에서 얻었다. 예수를 배반한 가롯유다와 베드로의 삶을 비교하면서 우리가 지신의 잘못을 먼저 용서해야 하는 것에 명쾌한 해답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둘 다 스승인 예수를 배반한 것은 같지만 가롯유다는 자신의 잘못을 용서하지 않았기 때문에 자살해 버렸고 베드로는 자신의 잘못을 스스로 용서했기 때문에 순교를 통해 스승과 교회의 초석이 될 수 있었다.

이를 불교적 세계관으로 보면 ‘초발심’, 즉 처음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나 자신을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나 자신을 용서하는 일이다. 자신을 사랑해야만 남도 사랑할 수 있다. 부처님도 이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것은 바로 자기 자신이라고 말씀하셨다 한다. 이제 고통과 상처가 더 이상 가슴 속에 머물러 있게 해서는 안 된다. 먼저 나 자신을 용서하고 내게 상처를 준 사람을 용서하고, 주위 모든 이들에게 상처를 주지 않는 내가 되어야 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