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 1인 가구에서 비정규직 비율도 높아
사회보장제도, 가족 아닌 개인으로 전환해야

경기도 전체 1인가구는 103만 명이며 이중 중장년층이 약 46만 명으로 전체의 44.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에게서 비정규직화 현상도 두드러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연구원이 9월 7일 낸 <경기도민 삶의 질 조사 VII: 1인 가구>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경기도 1인가구의 비율은 2000년과 비교해 10% 상승한 23%이며, 2000년 약 34만 명에서 2015년에는 103만 명으로 약 70만 명가량 증가했다. 이 가운데 40~64세의 중장년층이 약 46만 명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20~39세 청년층은 37만 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1인 가구 증가의 원인으로는 청년층의 경우 결혼 지연과 포기, 중장년층은 이혼이나 경제위기, 기러기 가족, 비혼 등인 것으로 조사됐다.

1인가구의 자가 소유비중은 37.7%로 다인가구 세대주의 59.4%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중장년층 1인 가구는 42.1%로 같은 세대 다인가구 세대주인 66.2%에 비해 자가 소유비중이 현저히 낮았다.

경기도내 반 전세나 월세, 무상의 주거형태는 주로 1인 가구 중심으로 분포돼 있으며, 1인 가구의 반 전세나 월세 비중은 25.7%로 다인가구 세대주의 4.6%에 비해 매우 높아 주거 불안정으로 인한 월 소득에서 주거비 지출 비중이 높을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청년은 안정적인 수입원 확보로 인해 원가족에서 독립해 상대적으로 정규직의 비중이 높은 편이지만 중장년 1인가구는 비정규직 비율이 57.8%, 노년은 93.0%로 1인 가구에서 비정규직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석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1인가구는 실업, 질병과 같은 사회적 위험에 노출될 경우 다른 가구 형태에 비해 가족이나 친척으로부터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낮다”며 “특히 중장년 1인가구는 비정규직 비중이 높아 고용불안정성이 높지만 정책 지원범위에서는 배제되는 경향이 있어 1인가구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파악하여 선제적인 대응을 해야한다”고 밝혔다.

또한 “향후 1인 가구 증가 등 가족형태의 다양화에 대응하기 위해 핵가족 위주의 사회보장제도를 가족 중심이 아닌 개인 중심으로 전환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1인 가구의 지원방안으로는 ▲다양한 계층의 대상자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정책 ▲개인중심의 사회보장제도로의 전환 ▲1인 가구 주거안정을 위한 공동체 주택과 협동조합 주택제도 활성화를 제시했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