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르고
문제점은 철저하게
밝혀내야 한다

 

 

   
▲ 한상욱/비전고2
suss1313@naver.com

최근 남북 관계가 극적으로 해빙 조짐을 보임에 따라 다양한 대화 채널이 활성화되는 등 구체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대북 관계에 있어 강경책과 회유책을 동시에 가동하려는 현 정부의 의지가 이번 회담에 잘 반영됐다며, 다수의 여론이 회담 초기에는 긍정적인 반응을 많이 피력했다. 그러나 지난 1월 12일 남·북한이 이번 평창올림픽에서 단일팀을 구성한다는 이야기가 공론화됐다. 다시 사회 전반에 걸친 이념 갈등에 불이 지펴진 것이다.

현 정부는 이번 평창올림픽에서 한반도기 사용, 북한 예술단 공연, 남북한 개회식 공동 입장과 여자 아이스하키 남·북한 단일팀 출전 등으로 북한과의 교류를 비약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지난 보수 정권 동안 크게 경색됐던 남북 관계의 회복을 위한 실마리를 찾기 위해서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당선 이전부터 이러한 대북 관계 회복을 크게 중시했으며, 이전 정부에서 중단했던 개성공단을 다시 재개·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기하며 관계 개선 의지를 밝혔다. 이번 평창올림픽도 현 정부의 의지대로 대북 관계를 개선하는 데 있어 좋은 기회의 장으로 다가올 수 있다.

그러나 반응은 냉담했다. 여론뿐만 아니라 문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이었던 20~30대층이 이번 평창올림픽 남북 단일화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면서 현재까지도 논란의 중심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북한이 이번 회담의 물꼬를 트기까지 이어졌던 대남 도발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은 채, 평창올림픽에 슬쩍 간섭해 이익을 차지하려는 것처럼 보이는 태도 때문에 많은 국민들이 회의감을 느꼈기 때문이다. 특히 오히려 북한에 휘둘리는 듯한 현 정부의 강단 없어 보이는 모습에 비판은 점점 거세지고 있다. 결국 이러한 논란은 문 대통령의 지지율이 1월 초와 비교해 무려 11.7%(리얼미터 통계 인용)나 급락하는 결과를 가져왔었다.

평창올림픽과 관련해선 대북정책뿐만 아니라 다른 방면에서도 크고 작은 논란거리가 불거지고 있다. 빙상연맹의 실수로 스피드 스케이팅 노선영 선수가 올림픽 출전에 실패할 뻔하거나, 평창 지역의 바가지요금 문제의 여파가 현재까지 영향을 미쳐 숙소에 공실이 넘쳐 난다거나 혹은 평창올림픽 자원 봉사자들에 대해 대우가 형편없다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대회 시작 이전부터 터져 나왔다.

지난 1988년 서울 올림픽, 2002년 한일 월드컵의 성공적 개최 이후, 많은 사람은 우리나라가 권위 있는 스포츠 대회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역량이 이미 충분히 갖추고 있다고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지난 인천 아시안게임에서의 문제를 반면교사로 삼지 못하고 오히려 더욱 권위 있는 대회 준비에서 더 큰 과오를 만들어 내고 있는 우리나라의 모습은 현재 평창올림픽뿐만 아니라 앞으로 우리나라가 자국에서 유치될 세계적인 대회를 감당할 수 있을지 의구심을 자아내게 만든다. 현 정부가 평창올림픽을 끝까지 성공적으로 치르고, 대회에 얽힌 각종 사건·사고들을 간과하지 말고 철저하게 진상을 밝혀냈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