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11월 18일

서울 민대식에게 보내는 백미 팔아
짐마차까지 팔아 기생에게 써버려

 

   
 

“경기도 진위군 병남면 합정리 삼백십팔번지 최래하 방에 있는 짐마차 끄는 송태순(振威郡 丙南面 蛤井里 宋泰淳, 二十)은 음력 팔월경에 경성부 경운동 민대식의 집에 보내 일 백미 한 섬을 운반하던 길에 비를 만났으므로 그 중 네 가마를 광주군 김모에게 맡기고 나머지를 운반하던 중 악의가 생기어 (중략) 또 맡겼던 백미 네 가마를 가져다가 고양군 뚝섬 모진리 신학교에게 한 가마니 삼십구원에 팔아버리고 그 돈은 모두 홍련에게 써버린 후 한 푼도 없이 배회하다가 다시 경성에 올라온 것을 고양경찰서에 잡혀 취조한 후 검사국으로 보내었다더라.”(『매일신보』 1919년 11월 18일)

견물생심見物生心이라는 말이 있다. 물건을 보면 가지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는 뜻인데 그러다보니 절도나 횡령, 사기 등의 범죄로 이어지는 사례가 적지 않다. 1919년 3·1운동 이후는 사회적으로 어수선한 시기였지만 가을에 이르자 들판은 황금빛으로 물들었다. 평택은 예부터 미곡산지로 유명했다. 그래서 평택의 쌀이 각지로 배급되었다. 당시 병남면 합정리에 있는 젊은 송태순은 마차로 짐을 날라주며 생활했다. 그러던 중 서울 경운동에 있는 민대식에게 쌀 한 섬을 배달해달라는 의뢰를 받았다. 민대식은 당대 유명한 갑부이며 귀족인 민영휘의 아들로 친일활동에 적극 참여하는 인물이었다.

송태순은 추수한 쌀을 마차에 싣고 서울로 가던 중 광주군에 이르렀을 때 비가 쏟아져 내렸고 이에 평소 알고 지내던 김 모에게 쌀 네 가마니를 맡겨놓고 다시 서울로 향했다. 그런데 서울에 다 와서 마음이 바뀌었다. ‘견물생심’이라고 배달사고를 일으킨 것이다. 운반하던 쌀을 왕십리 김창운에게 당시 돈으로 113원에 모두 팔아버렸다. 그리고 나서 현 중구 입정동에 있는 기생 홍련을 찾아가 여러 날 묵으면서 그 돈을 유흥비로 탕진했다. 기생 홍련은 당시 최고의 요정 명월관의 기생으로 알려져 있는데, 동일 인물인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아무튼 송태순은 기생 홍련과 여러 날을 보내던 중 가지고 있던 돈을 다 써버렸다. 그러고도 30원이 부족하게 되자, 일전에 광주군 김 모에게 맡겨두었던 쌀 한 가마니를 30원에 팔아 그마저도 홍련에게 다 써버렸다. 돈이 떨어지자 홍련에게도 버림을 받아 갈 곳이 없어졌고 거리를 배회하던 중 경찰에 체포되어 결국 감옥에서 한 동안 생활했다.

.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