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워라밸 불균형과 휴가 이용 격차 보고서 발간
중앙과 차별된 휴가지원 정책, 부모-자녀 시간 제도로 보장

경기연구원이 경기도에 거주하는 30~40대 기혼 근로자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소득수준이 낮고 미취학 자녀가 있는 경우 가정과 직장생활의 균형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 또는 동료의 눈치나 과도한 업무로 휴가사용을 못하는 경우도 절반에 달해 일과 개인의 삶 사이의 균형을 저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연구원이 발간한 <워라밸 불균형과 휴가 이용 격차> 보고서에 따르면 이번 조사 결과 응답자 80.4%는 가정과 직장생활 간 갈등을 경험했으며 그 결과 가족 간 대화시간 부족 44.1%, 집안환경 저하 25.1%, 가족과 마찰횟수 증대 16.6% 등이 문제점이 대두된다고 응답했다.

갈등경험 비중은 미취학 자녀가 있는 경우가 84.9%로 없는 경우 77.3% 보다 7.6%p 높았다. 미취학 자녀수가 많을수록 갈등경험 비중도 높아져 3자녀 이상일 경우 90.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소득수준을 월 400만원 기준으로 구분한 결과, 월 400만원 미만이면서 미취학 자녀가 있는 경우 51.8%가 워라밸의 어려움을 호소했으며, 소득수준과 무관하게 자녀가 있는 응답자 81.0%는 자녀와 보내는 시간이 충분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한국의 연차휴가 부여일수는 주요 선진국이나 다른 아시아 국가들보다도 낮은 평균 15일이며, 연차휴가 사용일수는 8일로 주요국 가운데 가장 짧은 상황이다. 휴가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상사와 동료의 눈치 25.2%, 과도한 업무 22.7%, 여행비용 부담 13.7% 순으로 나타났으며, 미취학 자녀가 많을수록 여행휴가 비중은 40.0%로 낮았고 여행비용에도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휴가지원 정책을 도입하면 부모-자녀관계에 긍정적 영향 88.4%, 자녀 동행여행 증가 84.5%, 워라밸 증진 83.4% 등으로 기대효과가 나타나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김도균 경기연구원 전략정책부장은 “중앙정부나 서울시와 차별화된 경기도형 휴가지원 정책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며 “중소기업 종사자 혹은 비정규직 다자녀가구는 워라밸 불균형을 경험할 확률이 높기에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휴가지원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또한 “부모와 자녀가 함께 보내는 시간을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다자녀가구 안식년 제도’ 같은 과감한 정책 검토가 필요하다”며 “특히 휴가권의 보장은 근로자 당사자의 워라밸 뿐만 아니라 부모-자녀 관계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경기연구원은 워라밸의 주요 변인으로 자녀양육을 설정했으며 자녀수를 기준치로 자녀 없음 200명, 자녀가 1명인 경우 350명, 자녀가 2명인 경우 350명, 자녀가 3명 이상인 경우 100명으로 할당해 모바일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조사의 신뢰수준은 95%이며 표본오차는 ±3.10%이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