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은 시간, 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에서 아동학대로 숨진 생후 16개월 아이에 대한 이야기가 방영되었습니다. 뉴스에서 접했던 것과 달리 세세한 내용까지 보도된 이 프로그램을 보면서 나는, 그리고 우리는 분노했습니다. 사망 직전, 보육교사에게 힘없이 안겨 있던 아이의 모습은 마치 삶을 포기한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의사는 당시 아이에게 극심한 고통이 있었을 거라고 말했고 그 말을 듣는 순간 아이가 살기 위해 잠깐 입에 댔던 우유는 아픔이 되어 우리에게 고스란히 전해졌습니다. 

아이의 사망은 살인과 학대의 경계에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법의 판단이 아직 나오지는 않았지만 그 결과가 무엇이든 간에 저항하지 못하는 아동을 상대로 하는 모든 학대는 살인을 전제로 한다고 국민들은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항상 뒤늦은 후회처럼 느껴지지만 그 목소리 안에는 부디 제2의 사건을 막을 수 있기를 바라는 간절함이 담겨 있겠지요. 

평택에서도 아동학대 사건이 대대적으로 보도된 적이 있었습니다. ‘원영이 사건’으로 보도된 이 사건 역시 너무 끔찍해서 기억을 떠올리는 것조차 고통스러울 정도입니다. 예전에 비하면 아동학대에 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진 것도 사실이고, 관심이 높아진 만큼 아동학대 신고횟수도 증가하면서 그만큼 보도되는 양이 많아진 것도 사실입니다. 당연하게 여겼던 부모의 회초리도 이제는 학대로 규정되는걸 보면 옳고 그름의 문제를 떠나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어떠한 작은 매질도 허용될 수 없다는 것이 보편적 인식이 된 것 같습니다. 

그러나 국민의 높아진 의식수준에도 불구하고 주위의 시선이 닿지 않는 곳에서는 아직도 힘없는 아이들이 폭력과 학대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각 지자체에서도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다양한 시도를 모색하고 있지만 아동학대는 여전히 독버섯처럼 우리사회 곳곳에서 머리를 들이밀고 있습니다. 

폭력과 학대를 가하는 사람 대부분이 아이의 부모라고 하니 이보다 더한 공포가 또 있을까요. 가장 안락하고 편안하게 지내야 하는 곳이 공포의 공간이 되고, 가장 위로받고 사랑을 받아야 하는 부모가 공포의 대상이라니요. 학대라고 하면 대부분 계모나 계부를 떠올리지만 통계를 보면 반드시 그런 것도 아닙니다. 계모나 계부도 친자식처럼 따뜻하게 보듬고 가족이 되어 화목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많고, 입양을 해서도 가슴으로 낳은 자식이라 생각하며 애지중지 키우는 많은 사람이 많으니까요.

이번 사건으로 경찰과 입양기관에까지 책임을 묻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어린이집과 인근 병원에서 학대신고를 했음에도 부모에게 다시 아이를 돌려보낸 경찰, 그리고 한 아기의 운명이 달려있음에도 제대로 확인하지 않고 아이를 입양을 시킨 기관에 대해서도 국민들은 이것이 과연 옳은 것인가 묻고 있습니다. 그들에게 법적인 책임이 없다 해도 어린 생명의 죽음이 이어지는 지금은 단호하게 멈춰 서서 기존의 시스템을 세세하게 점검해야 할 시점인 것만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생후 16개월을 사는 동안 극심한 육체적, 정서적 학대 속에서 고통 받다 사망한 아이, 한 번의 버림도 모자라 입양된 가정에서조차 1년도 채 지나지 않아 버림과 학대로 끝내 사망해야 했던 정인이의 무덤 앞에서 우리 어른들은 과연 어떻게 속죄해야 할까요. “꽃으로도 때리지 말라”는 그 당연하고도 처절한 말을 우리는 과연 언제까지 반복해야 할까요.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