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 그린동 2곳, 97% 자동화시스템으로 폐수처리
배출물질 24시간 원격감시, 일부 물질 전광판 공개


 

 

삼성전자가 3월 22일 세계 물의 날을 앞두고 자사 블로그에 최대 반도체생산기지인 평택캠퍼스의 첨단 폐수처리시설인 ‘그린동’ 시설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평택캠퍼스 ‘그린동’은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발생된 폐수를 깨끗하게 처리하는 곳으로 삼성전자는 이곳에 40여 년간의 폐수처리 기술과 노하우가 집적됐다고 소개했다.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생산시설인 평택캠퍼스의 수처리를 담당하는 ‘그린동’의 단면적은 지하 수처리 시설 기준 약 3만 4000㎡로 서울월드컵경기장 잔디구장 면적의 약 3.7배 크기에 해당된다. 이곳에서는 하루 평균 약 7만 톤의 폐수를 정화하고 있으며 이는 캐리비안 베이 하루 담수량의 약 4.7배 규모다. 

평택캠퍼스 ‘그린동’은 전체 업무의 약 97%가 자동화로 이뤄지는 최첨단 폐수처리 설비를 갖추고 있다. 특히 중앙통제실은 폐수정화부터 방류까지 모든 폐수처리 과정과 방류한 물의 품질까지 각 공정을 실시간 모니터링 하는 안전시스템이 이곳에서 이뤄진다. 

 

■ 반도체 제조과정의 필수요소 ‘물’

반도체를 만드는 과정에서 ‘물’은 매우 필수적인 요소다. 반도체는 아주 작은 크기의 먼지 하나로도 오류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웨이퍼를 깎고 회로를 새기는 반도체 8대 공정을 수백 차례 반복하는 과정에서 많은 물이 필요하다. 

삼성전자 기흥·화성·평택캠퍼스에서는 하루 평균 약 26.8만 톤의 물을 사용하며, 이 중 약 21.9만 톤의 물이 정화되어 각 지역 하천으로 방류되고 있다. 2020년 기준 평택캠퍼스에서는 평균 약 6.7만 톤이 사용되는데 그중 평택시 폐수종말처리장에서 서정리천으로 방류된 양은 5.4만 톤에 이른다. 방류된 물은 주변 하천의 유지용수와 자정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실제로 작년 경기도 오산천에는 천연기념물 330호로 지정된 수달 서식이 포착됐으며, 이는 삼성전자와 인근 지자체, 환경단체가 생태계 복원을 위해 오랜 기간 동안 노력한 결실로 꼽힌다.  

삼성전자 ‘그린동’은 기흥에 2개, 화성에 4개, 평택에 2개가 있다. 반도체 공정에서 사용된 물은 내부 기준에 따라 6가지로 분류해 각 단계에 맞는 공법과 기술을 적용해 정화하고 정화된 물의 수질은 각각의 성분 별로 법이 허용한 세부 기준치 대비 약 30% 수준으로 철저하게 관리된다. 

물 정화 공정은 크게 물리 화학적 처리,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처리, 필터를 이용한 물리적 처리 과정을 통해 오염물질을 단계적으로 걸러낸다. 삼성전자는 배출 물질에 대한 원격 감시 체계를 갖춰 24시간 실시간 측정하고 이 수치는 즉시 안전환경연구소와 한국환경공단으로 전달된다. 법적으로 공지가 필요한 일부 물질은 반도체 사업장 인근 거리에 설치된 전광판에 실시간으로 주민들에게도 공개된다. 

■ 생태계 보존 활동 펼쳐

삼성전자는 2003년부터 임직원, 지역주민, 환경단체 등과 함께 생태계 보존 활동을 펼치고 있다. 공기·수질 정화식물 식재, 수원청개구리 서식지 조성, 토종 물고기 방류, 쥐방울덩굴 심기를 통한 나비길 복원 사업 등 매년 다양한 봉사활동을 펼치며 소중한 물을 지키기 위해 합심하고 있다. 또한 ‘미생물 분해’, ‘DNA 기반 모니터링 기술’ 등 친환경 공법을 개발해 단계적으로 적용하며, 친환경 처리 기술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으며 오산천 수달을 ‘달수’라는 이름으로 형상화해 임직원들에게 ESG 관련 활동을 소개하는 ‘ESG 탐구생활’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발행하는 등 공감대 형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