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의 의견들을 수용하며
고민할 수 있는
결론을 가진 후보에게
청년은 움직일 것이다

 

▲ 한찬구 회원
청년단체 라곰

마스크를 벗을 수 없는 불안과 백신에 대한 불신, 매일 손에 쥐고 있는 핸드폰에서 울리는 재난문자 그리고 당장 일상에 영향을 주는 방역정책. 정책을 이토록 여실하게 체감할 수밖에 없는 팬데믹의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다.

정치에 관심 없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숨 쉬는 것조차 정책과 관련되었다고 느끼는 지금, 능력주의와 높은 자살률 안에 살아가고 있는 퍽퍽한 청년들에게도 정치는 직접 느끼는 불편함으로 정책에 관해 물음을 던지게 되었다.

필자는 평택시청년네트워크, 청년정책연구소, 청년단체, 평택시미디어크리에이터 등 청년정책과 밀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청년으로서 지역사회에서 많은 공익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일련의 활동들을 통해 공정과 평등, 올바른 정책에 대한 생각이 확립되었냐고 묻는다면 ‘청년기본조례’ 이후에 우후죽순 쏟아지는 청년 공론의 장에서 들을 수밖에 없는 무력감을 더 느꼈을 뿐, 명확한 답을 낼 수가 없었다.

비약적인 속도를 가진 공론의 장에서 젠더, 세대, 정치, 인종, 이민, 부동산, 백신 등 사회적 갈등에 대한 답을 단기간에 내기는 어렵다. 답을 정의할 수 있는 분야를 모두 갖기란 어려우며, 복합적으로 맞물리는 사회적 이슈들에 대해선 서로의 생각이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기존 질서를 붕괴시키는 다수를 위한 정책 혹은 소수만을 위한 정책은 섣부른 판단과 공약을 잉태했고, 풀이 과정을 더 어렵게 하고 있다. 풀이가 어려운 과제들에 대한 답을 단기간에 묻고 바로 답이 나온다면 그것이 맞는 답일까 하는 탐구가 필요했고 문화와 교육에 대한 불평등에 대해서 재난 돌봄이 해소보단 연명의 방식으로 나아가고 있음에 문제를 느꼈다.

더불어 젠더갈등과 백신패스 등 결이 극명하게 다른 상태에서 한쪽을 비난하거나 옹호하는 방식은 근본적인 문제 해결보단 대립하는 둘 중 하나가 틀렸다는 결론으로, 설득력 있는 대안이 되지 못한다. 차별과 차이를 전략적으로 접근했을 때, 남겨진 무책임한 결론은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를 따져봐야 한다.

평택시의 청년인구는 지난해 11월 30일 기준 16만 8800명이다. 전체 인구 대비 구성비는 30%, 전국 구성비와 비교했을 때도 높은 수치이다. 높은 비율로 사회의 구성원으로 역할을 하는 청년이 피부에 와 닿는 주거와 복지를 포함한 사회문제에 대해 침묵하고 싶지만은 않다.

2030세대, 요즘 말하는 MZ세대는 N포세대라는 이름도 갖고 있다. 포기가 많은 집단에 원동력을 주기 위해선 권리가 필요하다. 그 권리는 말하고 접목할 수 있다는 건강한 사회구성원을 의미한다. 청년에 대한 역할과 권리는 건강한 참여와 더불어 성숙한 사회적 의식을 바탕으로 갈등에 대한 답이 될 것이다.

갈등에 대한 확고한 입장보다 팽배하게 나눠진 극단의 의견들을 수용하며, 고민할 수 있는 결론을 가진 후보에게 청년은 움직일 것이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