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매매 집결지 폐쇄를 두고
여성과 지역주민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성평등 플랫폼이라는 
공간의 중요성을 주시했으면 한다

 

▲ 김태정 활동가
두레방

지난 1월 성매매집결지 폐쇄 과정과 여성들의 자활지원 활동에 참고하기 위해 단체들을 방문했다. 단체에서는 여성들을 위한 상담, 지원과 행정 등의 내용뿐만 아니라 성매매집결지 폐쇄 과정에서 지자체, 민간개발, 시민, 지역단체, 여성이 함께하는 협업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짚어주었다.

전주 단체에서는 집결지 폐쇄 과정에서 젠더 거버넌스를 통한 여성, 시민운동과 행정의 협업이 있었다. 지역에 수십 년간 존재해온 성매매집결지 문제에 대한 책임을 지역사회 공동체에 묻고, 해결을 촉구하는 과정이었다고 한다. 또한 성매매와 성 착취가 가능하지 않게 하는 성평등에 대한 인식, 여성 인권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는 공간, 여성 인권의 가치를 기반으로 한 지역공동체로의 회복을 향한 공간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활동을 했다고 한다.

그 결과 성매매집결지 공간이 여성 인권과 예술의 공간으로 재구성되어 ‘성평등 전주’라는 성평등 플랫폼 끌어냈고 여성 인권을 기록하는 아카이브 전시관이 상시 전시되어 있으며 소규모 강좌와 문화공연을 운영하고 있다. 이는 다른 지역의 지자체 또는 지원단체에 시범모델이 되는 사례였다.

이와 같은 사례는 대구에 있는 단체에서도 볼 수 있었다. 집결지 안에 있었던 현장상담소에 시민들이 방문해 폐쇄의 과정을 알고자 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이러한 사례를 토대로 이 단체는 여성들의 자활 지원뿐만 아니라 시민들과 여성들이 알 수 있도록 집결지 폐쇄 과정을 기록하는 작업을 함께 진행했다. 다시는 반복되지 말아야 하는 역사임을 알리고자 기억하고 기록하는 행동을 함께했다고 한다.

현재 평택시의 집결지 폐쇄 과정에는 지자체, 경찰, 민간개발업체, 지원단체로만 구성돼 있다. 주민들도, 여성들도 이 과정에는 없었다. 이는 평택시에 성 착취 피해 여성의 인권을 이야기하는 단체가 오랫동안 없어 능동적 활동이 저조한 부분도 원인이지만, 지원단체가 있었다고 해도 행정의 협업이 없으면 적극적인 지역주민의 관심을 끌어내기 어려울 것이다. 여성인권단체와 지역운동단체 그리고 행정이 협업한다면 전주와 대구와 같이 시민들이 함께하는 집결지 폐쇄와 해체 그리고 지역 내 공간의 재구성을 끌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지난달 평택시민사회연대 ‘담쟁이’는 6.1 지방선거 후보들에게 제안한 정책을 정리했다. 필자는 평택시의 성매매집결지 ‘삼리’ 공간을 시민들, 여성들이 함께 기억하고 기록하는 성평등 플랫폼이 구성해 집결지 폐쇄와 해체를 지역사회에 공론화할 것을 제안했다. 성평등 플랫폼은 다양한 분야의 성평등 의제에 관심 있는 시민들이 서로 만나 협업하고 모색해 새로운 상상을 실천하는 공간이 될 수 있으며, 성인지 감수성을 교육하는 공간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평택지역 미군기지 앞 기지촌에서 안보라는 이름으로 희생당한 기지촌 위안부 여성들의 역사와 현재도, 기지촌 클럽에서 성 착취 피해를 받는 이주여성의 사례도 다룰 수 있다.

지방선거 후보자들은 성매매 집결지 폐쇄를 두고 여성과 지역주민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그리고 함께 할 수 있도록, 소통과 토론 그리고 공감할 수 있게 할 성평등 플랫폼이라는 공간의 중요성을 주시했으면 한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