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봄을 알리는 입춘이 지나갔다. 화엄 경에서는 모든 것이 마음의 조화라고 말한다. 또 모든 것은 하나  속에 포함되기도 하고 또 낱낱의 하나는 그것 자체로 모든 것을 말하기도 한다고 한다. 봄이 되면 들에 꽃이 핀다. 그리고 오염되지 않은 산골에 피는 들꽃들은 더욱 더 빛깔이 곱고 아름답다. 산이 높고 골이 깊을수록 그 언저리에 피는 산(山)꽃들의 생기와 향기는 더욱 짙고 신선하기까지 하다.
봄에 피는 꽃들은 나지막하게 피고 키가 작다. 다른 풀도 자라지 않아 얕게 피지만 햇볕을 쬐는 데는 전혀 지장이 없다. 여름에는 키가 좀 더 큰 꽃들이 핀다. 무성하게 자란 풀과 울창한 나무들 때문에 여름에 피는 꽃들은 키가 커야 햇볕을 쪼일 수 있다. 그래서일까 여름 꽃들은 학 같은 긴 목 줄기처럼 길기만 하다. 그러면서도 강한 바람에 흔들려도 꺾이지 않고 휘어지는 유연성이 대단하다. 그리고 서리가 내리는 가을엔 더 튼튼한 국화 등이 핀다.
사는 게 적자생존이라 했듯 꽃들은 저마다 치열하게 적응된 역사의 인과에 따라 계절에 맞게 피어난다. 그 같은 꽃들의 끈질긴 생명력을 보면서 참으로 질서의 자유로움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아울러 정확한 자신의 영역을 확보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물도 흙도 햇볕까지도 고루 나누고 텅 빈 허공의 땅 한 치라도 함부로 침범하지 않는 엄숙한 룰이 있다.
또 있다. 계절에 적응하며 핀 꽃들이 깊은 가을이 되면 그 잎들이 떨어져 이불이 되어준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땅에 떨어져 썩은 잎과 뿌리는 새로운 봄에 필 잎과 줄기를 지탱해주는 영양분이 되어준다. 보잘 것 없는 저 풀꽃들의 세계에서도 이렇듯 공생공존의 법칙이 있고 때를 따라 자연스럽게 자리 교체가 되고 있다. 특히 서로가 서로를 돕는 상부상조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경이로운 자연의 법칙을 보면서 만물의 영장을 자처하는 인간으로서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을 수가 없다. 사람들의 경우 때로는 권모술수와 비열한 배신과 무절제한 지조가 있다. 그러나 자연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주기는 주는데 주는 마음이 없고 가기는 가는데 가는 마음 없이 가는 경이로움이 있다. 사람들처럼 생색을 내려 하거나 시끄럽게 하지도 않는다. 우선 거짓이 없으니 그것이 바로 청정이요, 순응이 있고 떠날 때를 알기에 집착이 없으니 그것이 바로 자유스러움이 아니겠는가. 그래서 자연에 들꽃들이 진실로 아름답게 보이는지도 모르겠다. 아침에 도(道)를 깨치면 저녁에 죽어도 여한이 없다고 공자는 말했지만 깨달은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면 모든 사물의 안에는 이처럼 신비로운 아름다움으로 가득 차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기독교에서는 대자연의 모든 것을 하나님이 창조하셨다고 말 한다. 아무튼 우리의 삶은 경이롭고 신비한 아름다움의 망으로 짜여진 속(內)이고 또 겉(外)이라 말 할 수 있다. 자연의 질서는 이처럼 치밀한 조건과 엄숙한 환경에서의 순응이다. 그것을 바라보고 체험하는 일은 그 자체로 자기 자신을 바라보고 깨닫는 일이다. 흔히 현대를 가리켜 3S 시대라고 한 때도 있었다. 섹스와 스크린과 스포츠 시대라는 것이다. 한 마디로 말해 이는 또 하나의 현실 도피를 의미하는 것이다. 무엇엔가 미치지 않으면 정말 미쳐버릴 것 같은 썩을 대로 썩은 정치판의 현실을 외면하자는 것이요, 숨 막히는 답답한 교육계의 한심한 정책을 잊어버리자는 것이며 ‘빈익빈, 부익부’의 경제 현실에서 떠나보자는 것이다. 그래서 세상을 냉소적으로 보면서 어디엔가 열광하고 싶은 욕망이 치솟는다. 그러나 그 열광이 휩쓸고 간 뒤에 우리를 기다리는 것은 역시 우리를 실망시키기에 충분한 정치판의 스캔들과 사람다운 사람을 만드는 교육정책이 아닌 사람을 기계로 찍어내는 골육(滑育)정책으로 전락한 교육계의 부패, 그리고 휘청거리는 경제와 각종 흉악범죄가 날뛰는 답답한 사회 문제들 뿐이다.
일상(日常)에 찌든 삶을 사는 우리지만 가끔은 멈춰 서서 대자연에 섭리로 핀 들꽃을 바라보는 여유로운 마음을 가져보자 어찌 된 세상인지 ‘희망’ 을 포기한 사람들이 너무 많다. 사회구조상 ‘희망’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탈진한 상태다. 그러나 깊은 어둠이 지나면 밝은 빛을 맞이하듯, 어떤 어려움 속에서도 낙담하지 않고 희망을 잃지 않는 우리가 되었으면 한다. 환경에 적응해서 강하고 매몰차게 자라며 꽃을 피우다 때가 되면 말없이 지는 들꽃들의 삶이 절망의 나락에 빠진 우리에게 새로운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다.  













深頌 안호원
시인, 수필가, 칼럼니스트
YTN-저널 편집위원/의학전문 대기자 역임
사회학박사(H.D), 교수, 목사
평택종합고등학교 14회 졸업
영등포구예술인총연합회 부이사장
한국 심성 교육개발연구원 원장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