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양 땅 붉은 피 뿌린 삼학사(홍익한·오달제·윤집) 넋, 이제 그 흔적 아련해

▲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삼학사의 거쳐로 추정되는 중국 심양 조선관, 현재 심양아동도서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사회는 일제강점기와 해방, 1970~80년대 급격한 개발로 인한 성장통을 겪어오면서 과거의 모습을 되돌아보는 성찰의 기회를 갖지 못한 아쉬움을 갖고 있다. 특히 국가 차원에서는 성찰의 기회를 갖기 위한 다양한 움직임이 있지만 지역에서는 아직까지 이 같은 움직임이 요원한 상태다. 평택은 내년이면 이 땅에 평택사람들이 살아온 이후 처음으로 지금의 평택과 같은 행정구역의 모습을 갖춘 지 100년이 되는 의미 있는 해가 된다.
<평택시사신문>은 ‘행정구역 통합 평택 100주년’을 맞아 ‘평택사람의 흔적 찾기’ 일환으로 지난 8월 8일부터 11일까지 4일간 학계와 향토사학자가 함께 ‘중국 속에서 평택 흔적 찾기’를 진행했다. ▲일제강점기 식민지 농업정책으로 이주한 길림성 평택툰 ▲진위면 가곡리 경주이씨 종토(宗土)를 팔아 세운 신흥무관학교 ▲삼학사 중 평택 출신 홍익한 오달제의 흔적이 남아있는 심양(瀋陽)과 그 곳에서 자존심을 잃지 않고 살아온 평택사람들의 이야기를 6회에 걸쳐 연재한다. - 편집자 주 -

▲ 조선관은 현재 심양아동도서관으로 쓰이고 있다
▲ 조선관 지붕에 장식된 조선식 용두와 다양한 잡상
연행로(燕行路)가 연행로(連行路)로
조선은 건국 이후 수시로 중국에 사신을 보냈다. 아니 보내야만 했다. 그런데 이 사신이 다니던 길은 시대에 따라 그 명칭이 달랐다. 명나라 시대는 조천로(朝天路) 즉 천자를 알현하러 가는 길이었다. 이에 비해 청나라 시대는 연행로(燕行路)였다. 청의 황제를 알현하러 가는 길이 아니라 청나라 수도 연경으로 가는 길이었다. 이는 오랑캐인 청을 받들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이 연행로가 1636년 삼학사(三學士) 중 평택 출신 홍익한과 평택과 인연을 맺었던 오달제가 청의 압력에 의해 끌려갔던 연행로(連行路)가 되었다. 서울에서 후금의 수도 심양까지.
그렇다면 우선 홍익한과 오달제가 연행된 길을 지면상으로나마 걸어보자. 당시 홍익한과 오달제가 끌려갔던 마음으로. 남한산성에서 항복한 인조는 청 태종의 요구를 받아들여 그동안 청의 요구를 반대한 홍익한과 오달제·윤집를 내주었다. 홍익한은 서울을 떠나 의주까지 1050리를 갔다. 고양 벽제관→파주 파평관→장단 임단관→송도 태평관→김천 금릉관→평산 동양관→총수 보산관→서흥 용천관→검수 봉양관→봉산 동선관→황주 제안관→중화 생양관→평양 대동관→순안 안정관→숙천 숙녕관→안주 안흥관→가산 가평관→납청정→정주 신안관→곽산 운흥관→선천 임반관 →철산 차련관→용천 양책관→소관 의순관→의주 통군정이 바로 그 길이다. 오랑캐에 끌려가는 홍익한의 마음은 착잡하다 못해 피를 토하는 심정이 아니었을까. 압록강을 바라보며 회한의 눈물을 머금었으리라.
압록강을 건너면 바로 오랑캐의 땅이었던 청나라였다. 이곳에서 후금의 수도였던 심양까지는 582리다. 의주→구련성(九連城)→금석산(金石山)→총수산→책문(柵門)→봉황성(鳳凰城)→건자포(乾者浦)→송참→팔도하(八渡河)→통원보(通遠堡)→초하구(草河口)→연산관(連山關)→첨수참→낭자산(狼子山)→냉정(冷井)→신요동(新遼東)→난니포→십리포→산요포(山腰浦)→백탑보(白塔堡)→심양(瀋陽)으로 이어지는 길이다. 일전에 연행로를 답사하면서 달렸던 길이지만 이 길이 홍익한 등 삼학사가 끌려갔던 길이었다고 생각하니 마음이 조금 허해진다. 연행사들도 그런 마음이었을까. 삼학사의 마음을 조금이나마 기억할 수 있으리라. 그들의 비분강개한 심정을.

▲ 중산공원으로 변한 홍익한·오달제·윤집이 처형당했던 서문 밖

홍익한 등이 머물렀던 조선관
병자호란으로 심양에 끌려간 당시 조선인은 5만여 명으로 알려졌다. 이들 중 소현세자와 봉림대군 등 왕족은 세자관(世子館)에 머물렀고, 삼학사였던 홍익한과 오달제는 과연 어디서 머물렀을까. 아마도 조선관(朝鮮館)이 아니었을까 추정된다. 그런데 최근에는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이 기거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조선관 안에 세자관이 있지 않았을까. 조선관은 비록 청나라의 수도 심양에 있었지만 전통적 조선 양식으로 된 건물이었다. 일설에 의하면 소현세자가 조선에서 건축 재료를 들여와서 지었다고도 한다. 그렇지만 심양의 조선관은 원래 사신들이 머물 수 있도록 지은 것이었다. 아무튼 조선관에 대한 설은 다양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삼학사 홍익한과 오달제·윤집이 심양 땅을 밟은 처음에는 이 조선관에 머물렀을 것으로 본다.
이와 같은 조선관의 위치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왜냐하면 1778년 연행사로 갔던 이압이 남겨놓은 글에는 “조선관이 있는데 거의 무너졌다”고 할 정도로 훼손되었던 것이다. 당시 조선관이 있던 자리는 현재 ‘심양아동도서관’이 들어서 있다. 뿐만 아니라 ‘옛 조선과 관련이 있다’는 것으로 미루어 조선관 터가 아닐까 한다. 일제가 만주를 차지했던 시기에는 대동학원이 있었다고 한다.
‘중국 기획취재 공동취재단’ 일행이 조선관을 찾기 위해 적지 않게 고생을 했다. 우선 중국인들이 조선관을 몰랐고, 조선관이 있던 곳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심양아동도서관도 제대로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안내해준 분도 심양에서 생활을 하고 있었지만 심양아동도서관을 잘 알지 못했다. 평소에 누구도 관심을 갖고 이곳을 찾을 일이 없었으리라. 택시를 타고 버스를 타고 또 걸으면서 물어물어 찾은 곳이 바로 심양아동도서관으로 바뀐 ‘조선관’ 이었다.
현재 심양아동도서관으로 활용되고 있는 조선관 터는 옛 모습은 남아 있지 않지만 여전히 기와를 머리에 이고 있어 전통한국 양식으로 착각될 정도였다. 그렇다고 완전한 중국양식도 아니었다. 어딘지 모르게 낯익은 모습과 처마 끝의 모양은 천생 한식 그 자체였다. 조선관을 둘러보는 동안 부모의 손에 이끌려 온 어린이들이 적지 않게 들어오고 있었다. 그들은 이곳을 어떻게 느끼고 있을까?


▲ 중산공원 내 삼학사 절사터
홍익한이 절사(節死)한 중산공원
홍익한이 절개를 지키기 위해 죽음을 맞이한 곳 즉 절사(節死)한 중산공원은 심양 시내 한 가운데 위치했다. 중국을 근대화하는데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손문을 기리기 위해 만든 공원이지만 홍익한이 절사할 당시에는 성(城)의 서문 밖이었다. 연행사 박상호는 “심양 서문 밖에 우리나라 삼학사의 순절한 곳이 있다. 행인이 그곳을 가리키매 나도 모르게 머리카락이 곤두서고 눈초리가 찢어짐을 깨닫게 된다”라고 하였으며, 서경순은 “서가를 지나갔는데, 여기는 즉 삼학사가 살신성인한 곳이다”라고 한 바 있다. 연행사들도 홍익한·오달제·윤집 삼학사에 적지 않은 관심을 가졌으며 한 번씩 들렸던 현장이었다.
홍익한은 청 태종에게 누구보다 당당했다. 청 태종 앞에서도 무릎을 꿇지 않았으며, 옷을 벗어버리고 난도질해 죽일 것을 부르짖었다. “내 피를 북에 발라 치면 내 혼이 하늘로 올라가 고국으로 돌아갈 터이니 이 얼마나 멋진 일이냐” 하면서 절사하였다. 중국 측 기록에는 “1636년 3월 6일 홍익한 등을 명나라를 두둔한 죄로 죽었다고 하였으니, 세 사람이 모두 한 날에 장렬히 죽었다”라고 하였다.
홍익한이 절사한 중산공원 어디에도 이러한 사실을 알려주는 표시판 하나 없었다. 손문이 서 있는 동상의 오른쪽 후미진 곳, 어린이 놀이터가 바로 삼학사 홍익한과 오달제·윤집이 절사한 곳이다. 이곳에서 뛰어노는 어린이들이 그 사실을 알고나 있을까? 좀 허무한 생각이 밀려들었다.


▲ 삼한산두비가 세워졌던 서탑조선족소학교
삼학사를 기리는 ‘삼한산두(三韓山斗)’비
삼학사는 절사한 후 한 동안 잊혀졌다. 그러다가 1933년 부활되었다. 바로 충절을 상징하는 ‘삼한산두비’가 발견되었던 것이다. 이 역시 여전히 논란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아무튼 이 삼한산두비가 처음에 발견된 곳은 ‘보령사’였다. 그러나 삼한산두비가 다시 세워진 곳은 현재 심양의 조선인 집단거주지이며 코리안타운이 형성된 ‘서탑보통학교’ 교정이었다. 서탑보통학교는 현재 ‘서탑조선족소학교’로 그 맥을 이어오고 있다.
삼한산두비는 1966년 중국 문화대혁명 때 혼하(渾河)에 내버려졌다가 한 농부가 주춧돌로 사용하려했지만 글자가 있는 돌로 집을 지으면 망한다는 속설 때문에 방치해두었다가 현재 ‘발해대학’에서 보관하고 있다.
이번 답사에서 삼한산두비가 초기에 있었던 조선족소학교는 들러볼 수 있었지만 비가 있는 발해대학은 찾을 수가 없어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진한 아쉬움이 남았다. 그리고 홍익한과 오달제를 청에 넘겨줄 것을 요구한 청 태종의 무덤 북릉(北陵)을 볼 수 있었다는 것이 다행이 아니었을까 한다.
고국을 떠난 평택인의 흔적, 절사한 홍익한과 오달제·윤집과 관련된 흔적을 찾는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아무래도 중국이라는 지정학적 여건이 힘들게 했던 것이었다. 그럼에도 그 역사의 흔적은 남아있었다. 바로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심양시(瀋陽市)의 조선관·중산공원·서탑조선족소학교, 그리고 청 태종의 고궁(古宮)과 북릉이 바로 그곳이다. 하지만 그 어디에도 홍익한과 오달제의 모습은 없었다. 다만 그 흔적만 아련하게 느낄 수 있었을 뿐이다.
 
■ 중국 기획취재 공동취재단
  성주현/청암대학교 연구교수
  박성복/평택시사신문 부사장
  황수근/평택문화원 학예연구사

▲ 청 태종의 능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