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 안전한 캠핑문화 확산과 서비스 개선을 위해 캠핑장 등록제를 우선 정착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20일 캠핑장 등급제 정착과 캠핑장 이용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 ‘캠핑장 등급제 성공적 도입을 위한 제언’ 보고서를 발간했다.

텐트 내 가스누출로 인한 질식, 전기과부하, 난로 화재 등 각종 안전사고에 대한 안전관리대책 수단 중 하나인 캠핑장 등급제는 현재 국립공원에 적용 중이며 이는 호텔 등급제와 유사한 형태이다.

경기연구원에서 실시한 수도권 주민 1,000명 대상 인식조사에 따르면, 국내 여행 시 이용하는 숙박시설은 펜션(40.2%), 호텔(19.0%), 콘도미니엄(15.1%), 모텔·여관(13.9%)이며, 캠핑장은 4.9%에 그쳤다.

캠핑장을 이용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로 ‘잠자리의 불편함(30.9%)’이며, 캠핑장 이용 시 가장 불편한 점은 ‘시설 낙후 및 미비(58.0%)’, ‘매점물품 불만(20.7%)’ 순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매점물품 불만은 비싼 가격, 장작 등 필요물품 미비로 인한 불편함을 뜻한다.

캠핑장 서비스 개선을 위해 시급한 정책으로는 ‘캠핑장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44.3%)’을 꼽았으며, 이는 ‘우수 캠핑장 인증제(18.6%)’보다 높게 나타났다. 소비자들은 캠핑장 서비스 개선을 위해 등급제 도입보다 정확한 정보제공을 더욱 필요로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수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캠핑장 등급제는 안전관리대책 및 정보제공 수단으로 도입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캠핑장 등급제를 도입 시, 위생시설·편의시설·안전시설·캠핑장 사이트의 4개 분야로 평가하고, 캠핑장 등급 단계는 도입 초기에는 3단계로 구분, 이후 운영상 문제점 보완하여 5단계로 확대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이 연구위원은 “현재까지 등록하지 못한 캠핑장들의 등록 미추진 사유를 파악하고 등록을 유도하고, 이후 캠핑장 등급제 도입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캠핑장 ‘등급제’ 이전에 캠핑장 ‘등록제’를 우선 정착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문화체육관광부 실태조사에 따르면 2015년 4월 말 기준 전국 캠핑장은 총 1,945개이며 이 중 600개소(30.8%)가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다.

캠핑장 등록률은 등록제 계도기간 종료 전인 2015년 4월 11.9%에서 2016년 1월 57.1%, 4월 65.3%, 6월 71.8%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