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장 변화, 일자리 창출과 직업훈련 전략 필요
2020년 약 510만개 일자리 감소, 소득양극화 심화

제4차 산업혁명이 도래함에 따라 노동시장 내 일자리 구조의 변화가 예상되는 시점에서 교육제도 개편과 다양한 근로형태 대응, 신규 일자리 창출 등 선제적인 대응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끈다.

경기연구원이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노동시장의 변화를 살펴보고 선제적 대응전략을 제안한 <제4차 산업혁명 시대, 일자리 전략은>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간했다.

제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 도입으로 인간의 육체적 노동뿐만 아니라 창의적 노동까지 대체 가능한 시대를 의미한다. 2016년 OECD 보고서는 OECD 21개국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약 9%의 일자리가 자동화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했으며 2016년 WEF 보고서는 기업 경영자 설문조사를 통해 2020년까지 약 510만개의 일자리 감소가 나타나고 사무행정직이나 제조업 중심으로 일자리 감소가 있을 것을 예상했다.

제3차 산업혁명 시대부터 악화되어온 소득 양극화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저기술 일자리마저 감소하고 고숙련되거나 전문직 일자리만 소폭 상승해 소득 양극화는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노동시장 변화에 따른 선제적 대응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최석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제4차 산업혁명의 선제적 대응 전략으로 ▲교육제도를 창의성 개발중심의 학습체제로 전환 ▲다양한 근로형태를 지지할 수 있는 임금과 복지제도 도입 ▲신기술을 활용한 신규 일자리 창출 전략 등을 제시했다.

제4차 산업혁명 시기에는 생산이 자동화됨에 따라 근로자는 대부분의 일의 과정을 기계에 넘기는 대신 일의 세부업무를 분류하고 중요한 의사결정을 하는 데 짧은 근로시간을 투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근무시간과 근무지에 구애받지 않는 근로형태의 다양화 속에서 근로자들의 고용안정성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근로형태를 지지할 수 있는 임금과 복지제도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최석현 연구위원은 “경기도는 다른 시도에 비해 전문·숙련직 취업자 수 증가율이 74.5%이고 서비스 또는 단순노무직 취업자 수 증가율도 44.7%로 높은 편”이라며 “그러나 4차 산업혁명 시기, 자동화에 의해 일자리 소멸 위험이 높은 서비스직, 장치·기계조작과 조립종사자, 그리고 단순노무 종사자의 증가율이 높은 것은 우려된다”고 말했다.

최석현 연구위원은 경기도의 대응 전략으로 “사이버 물리기술을 활용한 창업지원과 신규 직종 개발, 자기주도형 심화학습 모델 개발과 함께 수요 기반형 평생교육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