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시절 골목친구들과 어울려 귓속말로 말을 전달하는 놀이를 누구나 한번쯤은 해보았으리라. 이 놀이를 해 본 사람은 대개 공감 하는 것이 있다. 맨 마지막 사람이 하는 말을 들어보면 처음 사람이 했던 말과는 너무나 달라서 배꼽을 쥐고 한바탕 웃었던 기억이 날 것이다. 이 놀이가 어쩌면 남의 말을 잘 듣지 않고 잘못 전하는 우리의 잘못된 습관을 일깨워주기 위해 옛 선인들이 지혜로 만들어진 것이 아닌지 모르겠다.
남의 말을 듣고 어떻게 전달되어지느냐에 따라 인간관계가 엄청나게 달라질 수도 있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된다. 어떤 감정으로 듣느냐에 따라 엄청난 영향력을 지니고 있음을 알 것 같기도 하다. 잘 들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들은 말을 다른 사람에게 전할 때도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을 또 한 번 느꼈다.
무심코 옮기는 말 한마디가 상대에게 큰 상처를 주기도 하고 때론 기쁨과 함께 희망을 안겨주기도 한다. 특히 하지 말아야 할 말에 말을 보태거나 빼서 듣는 상대에게 분노감을 느끼게 만들기도 한다. 뒤돌아보면 거짓이고 허상이고 결국은 메아리처럼 자신에게 되돌아오는데도 말이다. 말을 할 때 조금은 생각해 볼 줄도 알고 가끔은 나보다 듣는 사람에게 어떤 상처와 아픔이 되돌아갈지를 생각해야 한다.
지금 당장 눈  앞에 닥친 현실과 실익을 찾아 오직 자신만을 포장하고 실리를 찾기에 더 급급해지다 보면 자칫 ‘말을 전달하는 놀이’처럼 나중에 최종적으로 듣는 사람에게 왜곡이 생길 수도 있다. 더 큰 문제는 이 세상은 귀가 얇고 줏대가 없는 사람들, 변덕이 심한 기회주의자들로 범람한다는 것이다. 참으로 안타까운 것은 그런 귀 얇고 줏대 없는 사람들이 오히려 각광을 받는 세상이 되어버렸다는 사실이다.
그런데 이들을 잘 이용하는 부류가 소위 정치를 한다는 사람들이다. 선의(善意)는 어디 갔던 정치 공학적 셈법을 총 동원하는 직업적인 정치꾼들에게 이용당하는 이들은 이념 지향적 정파적 성향과는 거리가 멀다. 거대담론을 논할 만큼 그리 해박하지도 않고 선거에 대해서도 선(善)과 악(惡)의 대결로 보지도 않는 아주 흔한 수준이다. 특정 후보나 정파에 확신에 찬 지지를 확정하지 못한 귀 얇고 줏대 없는 이들을 향해 솔깃한 말, 달콤한 말로 유혹하며 이들을 투표장으로 끌어내 자신을 지지해달라는 수준 높은 구애를 하고 있다.
지난 4·11 총선 때도 그랬지만 이번 18대 대통령 선거도 주요 대선후보들이 일제히 이들을 겨냥해 선거 캠페인의 핵심 타깃으로 삼고 여기서 승부를 내려고 혈안이 되어 있다. 이런 때에 금태섭-정준길의 긴급 기자회견이 귀 얇고 줏대 없는 사람들의 마음을 요동치게 하고 있다.
과연 이 두 사람이 동문이나 친구로 불릴 수 있는 사이인가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모두가 이를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정말 친한 친구사이였다면 며칠이 지난 어느 날 긴급 기자회견을 자칭해 이런 폭로를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좀 튀는 대학동기끼리 어찌하다 정치권에 발을 디밀어 드잡이를 하면서 대선 판을 온통 진흙탕으로 만드는지 모르겠다. 이 대목에서도 느끼는 것은 안철수가 자기의 입이 아닌 대변인을 통해 정치적 공세를 펴며 문제인, 박근혜의 지지율을 떨어뜨리는 재미를 톡톡히 보려고 한다는 것이다.
정말 대통령이 되고 싶다는 의지가 있다면 대변인 저격수를 내세우거나 시의적절할 때마다 톡톡 튀는 행보를 하며 유권자들의 판단력을 흐리게 하지 말고 본인이 직접 나서 이념과 정책 등을 밝혀 궁금증을 풀어주는 게 국민에 대한 예의가 아닌가 싶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남의 일에 그리 관심도 없고 오직 자기에게 유리한 쪽의 말만 하려고 한다. 그리고 위험한 것은 여러 사람의 이야기를 모으면 그것을 완벽한 진실의 말로 여긴다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완벽하지도 않은 여러 사람들의 말을 듣고 그게 마치 진실인양 믿어버린다는 것이다.
진실이 아름답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소수의 입장은 인정되지 않는 점에서 때로는 진실이 잔인하다는 생각도 든다. 이 세상을 살아가다보면 권력과 재력보다 더 귀한 게 있다. 중요한 것은 흔한 것이 천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공기도, 물도, 바람도 흔하지만 그것들은 결코 천하지 않고 우리가 살아가는 데 있어 무두가 귀한 존재들이다.
흔한 게 귀한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순간 이 세상은 사뭇 달라지고 아름다움으로 가득 차게 될 것이다.
“세월이 흘러가면 잊을 날도 있다지만/ 그러나 언젠가는 그리울 거야…/ 우리의 마음에 새긴 것은 아마도 지울 수 없을 거야”며칠 전 유명을 달리한 가수 최헌의 노래처럼 세월이 흘러가도 남은 자들은 떠난 자들을 마음에서 지울 수는 없을 것이다. 나이도 제대로 먹어야 귀하게 대접받는다. 그만큼 나이 값을 해야 한다.

 

 

 


深頌 안 호 원
한국심성교육개발원장
심리상담사, 시인, 칼럼니스트

 

·본 란은 외부에서 기고해 주신 글을 싣는 곳으로 본지의 편집 의도와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