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경기도형 기본 소득 보고서 발표
특정연령층에 1년간 주기적으로 일정 현금지급

경기도민의 71%가 경기도형 기본소득 도입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연구원이 8월 19일 발표한 <제대로 된 기본소득, 경기도의 새로운 도전>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도에 거주하는 만20세 이상 성인 8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1%가 기본소득 실시에 대해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반수인 53.3%는 적정 기본소득액이 지급될 때 추가로 세금을 징수하는데도 동의했으며 실행방식에서는 소수에게 상대적으로 큰 기본소득을 지급하는 것보다 다수에게 상대적으로 작은 기본소독을 지급하는 것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기본소득 청년모형은 경기도가 시군과 30:70으로 예산을 분담한다는 전제 하에서 만25세 청년에게 1인당 20만원을 현금 또는 상품권으로 무조건 지급하는 경우 매년 평균 약 1327억 원 정도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이는 경기도 복지예산의 2.3%에 해당한다.

특히 보고서에는 특정 연령층 모두를 대상으로 개인에게 자산·소득, 노동 여부에 상관없이 1년간 주기적으로 일정액의 현금을 지급하는 경기도형 기본소득 모형을 제시했다. 이러한 경기기본소득 모형 추진을 위한 정책방안으로 ▲개발수익, 공기업 이윤 등으로 ‘경기기본소득 기금’의 조성 ▲경기도민의 투자형 참여를 유도하는 ‘크라우드 플랫폼’과 ‘경기기본자본기금’ 마련 ▲경기기본소득 조례의 제정 ▲경기기본소득 사업을 종합적으로 추진할 전문 TF팀 구성 혹은 담당관 배정 등을 제안했다.

기본소득은 국가 또는 지방자치체가 모든 구성원 개개인에게 아무 조건 없이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소득을 의미하며 기존 사회보장시스템과는 달리 가구가 아닌 개인 단위로 자산심사나 노동요구 없이 모든 사람에게 지급된다는 특징이 있다.

기본소득이 시행될 경우 노동 유인의 증대, 소득재분배, 경제 활성화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기본소득을 지급한 아프리카의 나미비아에서는 2년 동안 기본소득을 제외한 시장 소득이 29%나 증가했으며, 성남시에서도 청년배당이 상인들의 매출을 15% 정도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유영성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의지만 있다면 경기기본소득 사업을 시행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며 “조세저항 문제나 재원조달 문제도 경기도가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얼마든지 극복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완전기본소득 대신 경기기본소득 청년모형 실시에 대한 경기도민의 정치적 수용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실행 가능한 ‘경기기본소득 모형’을 가지고 경기도 차원의 성공사례를 만들고 중앙정부를 움직여 지방재정을 확대할 수 있도록 계기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에서 도민들이 생각하는 적정 기본소득액은 월 35만 원, 재원 기여액은 월 12만 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현재 복지수준을 유지한 상태에서 만20세 이상의 성인에게 무조건 지급할 경우 도민들이 생각하는 적정 기본소득 지급액은 월 20만 원 미만(32%)과 월 20~40만 원 미만(32.3%)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