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지역 17개 시민단체, 2월 5일 기자회견 개최
특별재난지역 불가 통보한 정부 규탄, 책임 촉구

 

평택지역 시민사회단체가 관리천 수질오염 사고 현장에 대한 정부의 특별재난지역 선포 불가 통보를 규탄하고 나섰다.

평택환경행동과 평택시민환경연대를 비롯한 17개 평택지역 시민단체는 지난 2월 5일 평택시의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부가 책임지고 관리천 오염을 해결하라고 촉구했다.

지난 1월 9일 화성시 양감면 화재 사고의 여파로 관리천 7.7㎞ 구간이 오염된 가운데, 1월 25일 정부가 평택시에 특별재난지역 선포 불가 통보를 내리자, 책임을 요구한 것이다.

이들은 “정부의 불가 결정은 책임을 방기하고 시민의 건강권과 환경권을 무시한 처사”라고 규탄하며, “관리천 독성유해물질 오염사고는 화성시의 초기대응 미흡, 소방당국의 부적절한 소화방식 그리고 한강유역환경청의 인허가 과정 의혹 등 복합적인 인재가 겹친 사회적인 재난으로, 특정 기업과 지자체가 수습할 수 있는 차원을 넘어선 대형사고”라고 지적했다.

또한 “여전히 많은 양이 하천에 남아 있으며, 탱크로리로 이송된 오염수는 부적절한 하수처리장 등에서 처리되어 안성천 수계, 평택호 그리고 평택항 앞바다로 배출되고 있다”며, “배출수가 하수처리장 방출기준을 넘어 배출되고 있다는 제보도 입수된 상황”이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시민단체들은 “하천수가 모두 처리되어도 오염된 하천 토양을 처리해야 하는 커다란 숙제가 남아 있고, 하천 인근의 지하수 사용 농가와 농·축산물의 안전성도 큰 걱정거리”라고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이들은 “퇴적된 토양오염을 필히 처리한 후 하천수를 통수시켜 복원해야 하며, 기존의 관리천 수질이었던 2급수에 도달하도록 조치해야 한다”며, “오염수는 ‘사람의 건강보호’ 기준에 맞게 처리해 방류되해야 하고, 지하수는 농업용수 기준이 아니라 음용수 기준에 맞게 향후 몇 년간은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는 “그럼에도 정부는 책임 떠넘기기를 하고 있어 실망이 대단히 크다”며, “평택 주변으로 반도체산단들이 속속 들어서고 있고, 대형 가스공장과 수백 개의 위험물 취급 사업장이 위치해 있어 유사 사고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바, 감사원 감사를 통한 철저한 책임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이 긴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시민단체들은 이날 구체적으로 ▲특별재난지역 선포 ▲오염 처리수 3등급 수질 검증 후 방류 ▲지역구 국회의원들이 정상화에 앞장설 것 ▲유출된 화학물질 정보 공개 ▲감사원 특별감사 ▲지하수 안전성 확보와 토양·생태 복원 대책 마련 ▲인근 지하수 음용수 기준 관리·복원 등을 요구했다.

기자회견이 끝난 뒤에는 평택시 오성면 안화리 관리천 일대를 방문해 오염수 활성탄 처리 현장을 살폈다.

한편, 이날 기자회견에는 서평택환경위원회, 평택환경행동, 평택시발전협의회, 평택포럼, 평택녹색소비자연대, 서평택발전협의회, 시민사회재단, 평택명품도시위원회, 평택건강과생명을지키는사람들, 평택미래전략포럼, 평택자연연구소, 평택호내수면어업계, 평택수산인발전협의회, 남양호살리기운동본부, 경기남부생태교육연구소, 한국환경체육청소년연맹경기남부지부, 평택시민환경연대가 참가했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