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는 ‘홍보성 백서’가 아니라
‘반성·교훈담은 백서’를 만들어야 한다.
평택시장을 비롯한 일부 공무원들은
시민의 건강과 사태의 파장을 고려하는
공공의식의 부족에 대해 자성하고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우선하기 보다는
중앙 눈치 보기, 정치적 이미지를 우선하는
행보였다는 지적을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

 

▲ 이은우 이사장/평택사회경제발전소
초기 대응, 지역사회 혼란, 방역실패 원인, 비공개원칙 고수, 격리자에 대한 방치, 정치적 리더십, 거버넌스 문제 등에 대한 성찰적 접근을 통해 구체적 대안을 담는 ‘메르스 백서’를 기대했지만 평택시의 백서내용이 빈약하고 시정 홍보지 수준에 그쳐 백서발간 최종보고회에서 참가자들에게 호된 질책을 받았다고 한다.

메르스 사태에서 보인 평택시의 안이한 인식과 대응능력, 소통과 공감의 부재는 지역사회의 불신과 피해를 심화시키고, 방역에도 실패하는 문제점을 야기했는데, 이에 대한 철저한 반성과 교훈은 사라지고 자화자찬 ‘극복’에만 초점을 맞춘 백서는 평택시장의 입맛에는 맞을 수 있어도 시민에게는 세금 낭비밖에 되지 않는다.

반성이 없는 평가는 또다시 재앙을 잉태할 수밖에 없다. 시민사회가 메르스 사태 당시 평택시장과 평택시에 대해 문제제기하고 항의했던 이유는 ‘시민 생명과 안전을 우선해 달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메르스 사태에 대한 철저한 반성과 분석을 토대로 지역특성에 맞는 재난 대응 매뉴얼 개발을 촉구했던 이유도 앞으로 이런 재난성 질병이 발생할 경우 혼란과 불안을 최소화하면서 안전한 평택을 만들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평택시가 메르스 사태 이후 보이고 있는 모습은 시민사회의 기대와는 거리가 먼 이미지 제고를 위한 이벤트나 홍보성 행사여서 새로운 변화의 계기로 삼기 위한 노력은 빈곤하다.

이번 백서 파동부터 특혜의혹과 전시성 공연이라는 비판을 받았던 ‘뮤지런 평택’, 그리고 각종 이벤트성 행사가 메르스로 침체된 지역경기를 활성화 시키고, 도시 이미지 제고에도 큰 도움을 줄 것이라는 명목으로 열렸지만 실제로 지역경제 활성화에 어떤 도움을 주었고, 시민들의 아픈 상처를 치유하고 공감을 얻었는지는 의문이다.

하물며 평택시의 ‘국제안전도시 기본조사 연구용역 중간보고회’에서 제시된 유형별 안전수준 지표를 보면 차량·화재·자살·가해타살 사망률은 전국 평균치를 웃돌고, 학생 수 대비 사고발생비율도 경기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날 정도로 우려스러운 도시가 평택의 현실이다. 기본적인 안전수준조차도 우려스러운 도시에서 메르스 사태에 대한 제대로 된 반성과 대책도 없이 또다시 메르스 같은 전염병 사태를 맞이할까봐 걱정스럽다.

지금이라도 평택시는 홍보성 ‘메르스 극복 백서’ 발간이 아니라 ‘반성과 교훈을 담은 메르스 백서’를 만들어야 한다. 평택시장을 비롯한 일부 공무원들은 메르스 사태 대응에 있어 시민의 건강과 사태의 파장을 고려하는 공공의식의 부족에 대해 자성하고,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우선하기 보다는 중앙 눈치 보기, 정치적 이미지를 우선하는 행보였다는 지적을 겸허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특히 평택시장으로서의 정치적 리더십에 대한 지역사회 신뢰를 회복하는 각고의 노력이 필요하다. 공재광 시장은 성찰적 접근을 통해 메르스 대응의 문제점과 과제에 대해 점검하고, 시민사회와의 소통과 협력에 나서야 한다. 메르스 사태 이후 백서발간까지 비판적 시민사회와는 어떤 대화조차 나누지 않는 평택시의 행태는 옹졸하다. 안전한 도시 만들기는 평택시장의 정책의지와 소통의 모습이 매우 중요하다. 그래야 시민들의 지지와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민들도 ‘안전한 도시’, ‘의료의 공공성 확보’를 위해 지속적으로 시정에 대해 ‘관심’을 갖자. 시민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결국 더 정의롭고, 안전하고, 평화로운 지역을 위한 변화에 ‘관심’을 갖는 것을 의미할 것이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