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아야
치료법 발달로 바이러스 박멸 가능

 

 
▲ 이형숙 과장
박애병원 내과전문의

최근 C형 간염에 대한 집단 감염 사건이 발생하면서 C형 간염에 대한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C형 간염은 바이러스 감염을 일으키는 C형 간염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으로 주로 사람 대 사람으로 전염된다.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혈액이 정상인의 상처 난 피부나 점막에 접촉하게 되면 C형 간염 바이러스가 정상인의 혈액에 침입하여 감염되는 일종의 감염병이라고 할 수 있다.

C형 간염의 발생원인?
크게 수혈과 주사기를 통한 감염이 주원인이다. 수혈을 통해 전염되는 간염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1970년대부터 알려졌으나 원인이 밝혀지지 않고 있다가 1989년에 들어 원인이 규명됐다. 따라서 바이러스가 발견되기 이전인 1990년대 이전에 수혈을 받은 경우, C형 간염에 노출됐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이후 C형 간염 바이러스가 수혈을 통해 전염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1992년 이후부터는 모든 혈액제제는 수혈 전 C형 간염 바이러스 검사를 진행하여 간염 바이러스가 없는 경우에만 수혈이 진행됐기 때문에 수혈에 의한 전염 가능성은 거의 없어졌다.

주사기를 통한 감염
C형 간염 유병율이 높은 국가들에서는 C형 간염 바이러스가 알려지기 전 주사제가 널리 사용됐다. 주사기를 통한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전염은 C형 간염 바이러스가 있는 사람에게 사용된 주사기가 다른 사람에게 재사용되는 경우 혈액을 통해 바이러스가 전염되는데, 최근에는 모든 의료기관에서 1회용 주사기를 사용하고 있고, 거의 모든 병원에서 C형 간염과 같이 혈액으로 전염되는 감염원이 있는 사람에게서 활용된 주사기와 의료도구는 별도로 관리하고 있어 주사기를 통한 감염의 위험은 거의 없어졌다. 이외에도 출혈이 동반되는 시술인 문신 또는 피어싱이나 침술, 위험한 성행위나 면도기, 손톱깎이 등이 감염의 위험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C형 간염에 노출되면 급성 간염을 앓게 되는데 대부분은 가벼운 감기증상 또는 거의 무증상이어서 급성 간염상태를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 노출된 환자의 70% 정도에서는 6개월 이상 체내에서 머무르는 만성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만성으로 진행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C형 간염에서 회복되는 일은 매우 드물고, 개인차가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간경변과 간암으로 진행하게 된다. 만성 C형 간염의 경우 정상인에 비해 100배 정도 간암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흡연이 폐암을 일으킬 가능성이 3배 전후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수치라고 할 수 있다. C형 간염 검사는 증상이 없는 상태에서도 검사를 권유할 수밖에 없다. 국내에서는 아직도 C형 간염의 위험요인이 있는 사람들에게 C형 간염 검사가 보험인정을 받고 있고, C형 간염 검사가 권고되고 있다. 그러나 C형 간염의 위험인자라는 것들은 매우 모호한 경우들도 있다. 1990년대 이전 수혈을 받았거나 주사기를 공용으로 사용하였다면 반드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겠지만 그 외의 감염 위험 인자들 중 상당수는 모호한 경우들이 많다. 내가 위험요인이 있는지 확인하고 검사를 받는 방법보다는 위험요인과 무관하게 바이러스 감염여부를 한번쯤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C형 간염 치료는 어떻게?
C형 간염은 바이러스가 박멸되면 완치되는 질환이다. C형 간염이 간경변 또는 간섬유화를 일으키지 않은 상태에서 바이러스가 박멸된 경우 간암 발생도 거의 없고 간경변 등의 진행도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문제는 간경변 또는 간섬유화가 진행된 경우에는 바이러스가 박멸된 이후에도 간암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C형 간염은 가능한 간섬유화 또는 간경변이 진행되기 전에 조기에 치료를 통해 바이러스를 박멸하는 것이 중요하다.
C형 간염은 그 동안은 주사제와 먹는 약을 병용 투약하는 치료법(페그 인터페론+리바비린 병용요법)이 표준 치료법이었다. 페그 인터페론과 리바비린은 C형 간염의 유전자형에 따라 치료기간 및 치료성적이 다른데 유전자 1형의 경우 1년 치료로 약 60~70%에서 바이러스가 박멸이 되며, 유전자 2/3형의 경우에는 6개월 치료로 80~90%에서 바이러스가 박멸이 된다. 치료성적은 비교적 좋은데 반해 페그 인터페론 리바비린 병용요법은 다양한 부작용이 많고 대부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작용을 경험하기 때문에 치료기간 동안 삶의 질 저하를 각오해야 했다. 더욱 문제되었던 것은 페그 인터페론+리바비린 병용요법은 진행성 간경변 환자들에게는 사용이 불가능한 금기되는 약이어서 진행성 간경변에서는 C형 간염 치료가 어려웠다.
하지만 최근에는 매우 혁신적인 치료법이 개발돼 대부분의 환자들이 특별한 부작용 없이 높은 성공율로 짧은 치료기간 내에 바이러스를 박멸할 수 있다. 이러한 치료법의 발전에는 C형 간염 바이러스 복제를 직접 억제하는 여러 가지 바이러스 직접 작용제제 신약들이 대거 등장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약들의 특징을 요약하면 경구용 약제들로 구성되어 더 이상 주사제를 사용하지 않고, 치료기간이 2~6개월 사이로 단축됐으며, 치료기간 중 부작용이 거의 없고 치료 성적 또한 90% 이상 높다는 점이다. 따라서 C형 간염 바이러스는 이제 금기증이 없는 모든 환자에게 치료가 권고되고 있으며, 치료에 대한 유일한 금기증도 C형 간염 외 다른 신체 질환으로 인해 장기 생존이 기대할 수 없는 경우를 제외한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 치료가 가능하게 됐다.

C형 간염, 어떻게 예방할 것인가?
현재까지 C형 간염을 예방하는 백신은 없기 때문에 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C형 간염은 혈액으로 전염되기 때문에 정맥주사 약물의 남용, 무분별한 성접촉, 면도기, 칫솔, 손톱깎이 등을 환자와 같이 사용하는 경우, 비위생적인 문신, 피어싱 혹은 침술 등의 시술 등은 주의를 요한다.
C형 간염은 경우 최근 치료법의 발달로 대부분 바이러스 박멸이 가능한 병이며, 특별한 증상이 없이도 병이 진행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감염여부를 꼭 확인해 보는 것을 권한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