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의 추악함과
후폭풍을 생각한다면
무력적인 방법 없이
평화롭게 해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한상욱/비전고2
suss1313@naver.com

지난 9월 3일 북한은 함경북도의 핵 실험장에서 6차 핵 실험을 감행했다. 북한은 지난 2006년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핵 실험을 통한 핵무기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번 핵 실험을 통해서 관련 기술을 어느 정도 습득했을 가능성이 있다며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이번 핵 실험은 지난 2016년 9월에 이루어진 5차 핵실험 이후 1년 만에 다시 이루어졌다. 우리나라 정부 발표에 따르면 이번 핵실험에 의해 발생한 인공 지진이 이전 5차 핵실험에 비해 5배나 강해졌으며, 이는 폭발 위력으로 환산해볼 때 TNT 10만개를 동시에 터뜨리는 것과 같은 정도의 폭발력을 지닌다.

이번 북한의 핵실험은 기존 우리나라 정부와 미국 정부가 제시한 ‘북핵 레드라인’을 북한이 넘어선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갖게 했고, 특히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북 선제 타격 공격’이 다시 한 번 화젯거리로 떠오르는 등 많은 안보불안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북 핵실험이 일어난 직후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북한의 도발 사태와 동일하게 NSC 회의를 소집하고 군사 훈련을 통한 무력시위를 주문하는 등 재빠른 대처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UN 안보리 등을 이용한 외교적 방법으로 북한의 고립을 강화시키는 방법을 구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미국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전화를 주고받으며 북한에 대항하는 한미일 공조를 좀 더 돈독히 할 것을 주문하였고,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도 이에 동조하는 입장인 것으로도 밝혀졌다.

이렇게 북한의 핵실험으로 한반도 안보 위기가 극한으로 접어든 가운데 정부의 차후 대북 정책 수정도 불가피해 졌다는 입장이다. 문재인 정부는 지속적으로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 내기 위해 과거 햇볕 정책과 유사한 온화한 대북 정책을 추구하지만, 현 북한의 지속적인 도발과 연이은 핵실험이 계속 된다면 이러한 현 정부의 대북 정책이 정작 힘을 잃게 될 여지가 있어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일부 극단적인 의견을 가진 자들은 대북 선제 타격 등 무력적인 방법을 통해 북한의 핵 생산에 하루 빨리 제동을 걸어야 한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지만, 전쟁의 추악함과 후폭풍을 생각한다면 무력적인 방법이 사용되지 않고 평화롭게 현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차후 세계적인 위협이 될 수 있는 북핵 문제의 원활한 해결과 평화로운 한반도 공동체를 만들어 나가기 위한 현 정부 그리고 차기 정부의 입장에서도 이번 북 핵실험 사태에 대한 지혜롭고 현명한 대처와 선택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