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공포증과
가짜 뉴스를 형성하는
소셜 플랫폼은
규제해야 한다

 

   
▲ 윤해린/신한고 1학년
yunhaerin@naver.com

우리는 현재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이에 따른 네트워크의 발달은 자연스럽게 소셜 플랫폼의 진화와 확산을 초래했다. 또한 SNS 출현은 인류를 온라인을 기반으로 사회활동을 활발하게 전개하는 신문명에 빠져들게 했다. 이젠 거의 모든 사람이 소셜 플랫폼을 이용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렇게 영향력이 커진 소셜 플랫폼, 과연 정부의 규제 없이 운영해도 괜찮은 걸까?

우리 두뇌는 주변 사건과 정보를 얻기 위해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세상 속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은 인간의 본성이다. 따라서 SNS에서 사람들이 자신의 호화로운 삶과 여유로운 삶을 공개했을 때, 우리는 이 정보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본능적으로 부러움을 느낀다. 경제 전문지 이코노믹타임스에서도 “우리의 정신은 직업, 기회, 친구, 생활 등 다방면에서 타인이 자신보다 낫다고 생각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런 경험이 반복되면서 우리는 고립공포증을 느끼게 된다. 고립 공포증이란 사회적 경험이나 사건에서 스스로가 소외됐다고 느끼며 불안해하는 행동이다. 일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러한 고립 공포증은 우리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소셜 플랫폼의 안 좋은 영향은 여기서 끝나지 않고 ‘가짜뉴스’를 형성하는 모체가 되기도 한다. 가짜 뉴스란 일반적으로 상업적 또는 정치적 의도성을 가진 거짓 정보, 기성 언론사 뉴스 형태를 그대로 모방해 실제 언론 보도인양 허위로 유포되는 정보를 말한다.

미국 인터넷 뉴스 매체 버즈피드의 분석에 따르면 대선 막판 SNS에서는 진짜 뉴스보다 가짜뉴스가 더 많은 주목을 받았다. 당시 가짜뉴스의 페이스북 공유, 반응, 댓글 수는 871만 1000건으로 ‘뉴욕 타임즈’ ‘워싱턴포스트’ 등 기존 언론 매체의 댓글 수 736만 건을 훌쩍 뛰어넘었다. 이로 인해 페이스북은 페이크 북이라는 오명을 얻기도 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통령 탄핵 이후 5월 대선이 확정됨에 따라 가짜뉴스 유통이 급증했다. 특정 후보를 비난하는 글을 모바일 메신저 단체 채팅방에 올리거나, 짜깁기한 기사, 또는 영상을 SNS에 올려 편향된 시각을 가진 이들이 대중의 판단력을 흐리게 했다. 이에 대해 한국경제연구원은 가짜 뉴스에 따른 사회적 비용을 분석하기 위해 언론진흥재단의 자료를 토대로 1년간 총 기사건수를 약 1300만 건으로 가정하고, 이중 1%를 가짜뉴스로 분류했다. 이 분석 결과 가짜뉴스의 경제적 손실 비용은 30조 9010억 원에 달했다.

이와 같은 가짜뉴스는 모두 소셜 플랫폼의 확산으로 생겨났다. 이런 식으로 사람들의 정신적 피해를 초래하고 경제적 손실 비용을 초래하는 소셜 플랫폼은 정부에 의해서 규제되어야 한다. 만약 자유권을 주장한다면 우리의 경제가 자유권을 주장하며 보이지 않는 손을 주장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 분명하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