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은 기본인성을, 학교는 교육과정을
사회는 돌봄과 치유로 병들고 지쳐가는
우리 아이들을 지켜야 한다

 

   
▲ 공일영 소장
청소년역사문화연구소

교권이 무너지고 교대·사범대 지원율이 감소했다. 심지어 어려운 임용고사에 합격하고도 얼마 근무하지 않고 학교를 떠나는 선생님들이 증가하고 있다. 많지 않은 급여에 줄어드는 연금, 각종 민원과 잡무에 시달리느니 차라리 다른 길을 선택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판단하는 분위기가 나타나고 있는 것은 교육 현장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하고 있으며, 해결방안은 없는 것일까? 단순한 문제가 아니며, 뾰족한 해결 방안이 없다는 것이 더욱 큰일이다. 진보교육감 시대에 앞 다퉈 ‘학생인권조례’를 제정하고 자율과 선택을 강조하며 학생들의 태도가 나빠졌다고 몰아붙이는 것은 옳지 않다. 오랜 식민 지배와 군사 독재를 경험하며 인권 감수성이 떨어지고 억압받고 처벌받는 것에 익숙해 있던 우리에게 선진국의 문턱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화 지체 현상일 수도 있다.

일각에서는 ‘교권보호조례’ 법제화가 추진되고 있다. 또한 ‘초·중등교육법’이나 ‘교원지위법’에 생활지도권을 구체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매뉴얼이나 방안을 시·도 교육청별로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학생 인권 강화가 교권을 약화시켰다는 주장이 잘못됐다는 주장도 있다. 모두 옳은 이야기지만, 분명한 사실은 지금도 수많은 선생님이 아동학대, 차별, 폭력 행사 등 무고로 고소당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힘들어한다는 것이다. 선생님을 지켜줄 마땅한 보호 장치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이다.

근본적 해결책이 정말 없는 것일까?

첫째, 가정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 기본 인성 교육과 태도 형성의 시작은 가정교육이다. 밥상머리 교육으로 대가족 환경에서 가족 간의 친교와 훈육의 시간이 맞벌이와 핵가족화로 아이 홀로 방치되는 환경에서는 올바른 가정교육이 이뤄질 수 없다.

둘째, 학교에 대한 신뢰와 지지가 필요하다. 사교육이 증가하고 학부모 학벌이 높아지면서 공교육을 무시하고 극단적 개인주의의 만연으로 우리 아이만을 챙기며 무분별한 민원 제기는 학교 업무를 마비시킬 정도이다. 학교 또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자정 노력과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교육과정 운영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 사회와의 협력과 문제의식 공유이다. 한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는 온 마을이 나서야 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청소년의 일탈 행위를 봐도 지나칠 수밖에 없고 오히려 범죄에 이용하는 성인들도 많다.

이제는 자정의 노력이 절실하다. 교육은 교육공동체와 사회가 힘을 더하고 정성을 다해야 한다. 가정은 기본인성을, 학교는 교육과정을, 사회는 돌봄과 치유로 병들고 지쳐가는 우리 아이들을 지켜줘야 한다. 그래야 교실이 회복되고 살아난다.

평택 교육이 그 중심에 서야 한다. 급격한 인구의 증가를 돈벌이로만 생각하지 말고 그로 인해 파생되는 소외당하는 청소년들을 위한 적극 행정이 필요하다. 평택시 공유학교를 구축해 저마다의 빛깔을 살려 학업과 꿈과 끼를 펼칠 수 있는 공공의 장을 함께 만들어가야 한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