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옛 전통은
묵은 관습의 방식으로는
전승되지 않는다

 

▲ 박준서 자문위원
평택문화원 평택학연구소

조선시대 국교로서의 권위를 가졌던 유교가 현대에는 1% 남짓한 시대에 살면서도 제사문화만큼은 아직도 우리의 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설날이나 추석은 조상에 대한 ‘충효예’라는 제사문화가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제사를 꼭 지내야 한다고 고집하는 부모님, 그분들의 종교는 ‘조상님’이다. 우리 가문의 전통이라는 이유로, 또는 조상님에 대한 예의로 명절에 차례를 지내는 걸 어렸을 때부터 봐왔기 때문에 차례 지내는 걸 당연시해 왔다. 자신들이 희생하면서 또한 후손들에게 강요시키면서까지 차례를 지내야 했고 그래야 조상님들에게 할 도리를 다한 것으로 생각하고 안 하면 조상님께 벌 받을 것으로 생각해왔다. 제사는 조선시대 유교문화가 현대까지 그대로 이어져 온 느낌인데 현실에 맞게 탈바꿈되지 않았기에 고리타분한 ‘꼰대문화’로 인식되고 있다.

모든 이에게 행복을 주는 제사문화로 탈바꿈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차례상의 간소화다. 차례를 제사상처럼 잔뜩 차리는데 제사상이건 차례상이건 간소하게 차리면 된다. 생전에 좋아하셨던 음식 해드리고 싶었던 것을 올리면 된다. 부모님 생각하면 마음이 아프고 맛있는 거 차려드리고 싶을 때 하는 그 마음으로 제사 지내는데 음식이건 과일이건 많고 적음이 문제 되겠는가.

둘째는 고인을 찾아뵙는 성묘다. 성묘는 그분을 기억하고 추모하는 행사다. 제사나 성묘는 생전에 못다 한 효도를 내가 죽는 날까지 속죄의 마음과 나를 있게 해준 고마움의 표현인 것이다. 결국 성묘는 이날만큼은 부모님의 사랑을 기억하고 추모의 시간을 가져보자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굳이 설과 추석 명절에 찾아뵙는 것이다. 이렇게 명절에 모두 선산이며 추모공원을 방문하다 보니 복잡하고 힘든 것이다. 명절날에 가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벗어버려야 한다. 모든 가족이 함께하길 원한다면 명절이 아니라 고인이 돌아가신 기일이나 특정한 날을 택해 성묘하면 편하게 할 수 있고 가족끼리 고인에 대한 소중한 추억을 나눌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해방 이후 1세기도 안 돼 100불 시대에서 3만불 시대, 1차 농경산업에서 산업화를 거쳐 4차 정보화시대를 살고 있다. 사회, 경제 변화로 인해 가족 가치관도 변화하고 있는데, 현재로서는 전통적 가족의 가치관과 현대적 가족의 가치관이 혼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가족 구성원들 사이에서도 세대·연령·성별의 차이뿐만 아니라 교육 수준, 직업, 종교 등에 따라 가족에 대한 이해와 태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부모와 자녀는 서로 간의 가치관, 세대 간의 차이를 이해하고 소통하면 해답을 찾을 수 있다.

역사를 올바로 아는 것은 참으로 중요하다. 과거사를 알 때 우리는 우리의 전통 속에 어떤 장점이 있고 또한 어떤 단점이 있는가를 바라볼 수 있고 그것을 통해 새로운 방향을 잡을 수 있다. 이제 옛 전통은 묵은 관습의 방식으로는 전승되지 않는다. 현대를 사는 후손들은 오늘날 새로운 전통의 맑은 빛을 만들어가야 한다. 그리고 새롭게 만들어진 전통은 잊혀가는 조상과 후손 간의 사이를 좁혀 갈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