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원祈願과 축원祝願으로 일궈낸 민속 문화
전통예인들의 헌신이‘예향藝鄕의 고장 평택’을 만들다

 

"

경북궁 건축 위안공연은 성공적이었고
흥선대원군은 흥을 한껏 돋워
분위기를 최고조로 올린 진위남사당을 불러
‘진위군대도방권농지기’라는 농기都大房旗와
3색 어깨띠를 하사하고
상쇠 김덕일에게 ‘오위장五衛將’
벼슬을 내려준다.
진위남사당이 나라를 대표할만한
실력을 갖췄음을 왕이 인정해
상쇠에게 벼슬을 내린 ‘일대 사건’이었다

"


올 11월말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본부에서 열리는 ‘제9차 무형유산위원회’에서 우리나라에서 신청한 ‘농악’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등재 여부가 판가름 나게 된다. ‘농악’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될 경우 우리나라는 2001년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이 첫 등재된 이후 판소리-강릉단오제-강강술래-남사당놀이-영산재-제주칠머리당영등굿-처용무-가곡-대목장-매사냥-줄타기-택견-한산모시짜기-아리랑-김장문화에 이어 국내에서는 17번째, 국제적으로는 88개국 297번째로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는 영예를 안는다. 문화재청이 지난 2011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처음 제출한 농악은 ‘평택농악’을 비롯해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6곳과 시·도 지정 무형문화재 14곳 등 모두 20곳의 농악이 동시에 등재 신청됐다. 특히 평택농악은 경기·서울·인천·충청권 전역과 강원 일부지역을 대표하는 웃다리농악으로 전체 인구의 60%인 3100만 명을 아울러 우리나라 농악의 중심에 서 있다고 할 수 있다. <평택시사신문>은 두레굿과 걸립굿을 모두 수용해 역동성과 연희성이 뛰어나 세계인에게 사랑받고 있는 평택농악의 역사와 명인·연희·세계화·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발전 과제에 대해 11회에 걸쳐 연재한다.   - 편집자 주 -

 

왕이 감동해 벼슬 내린 ‘진위남사당’
세계인의 흥興이 된 ‘평택농악’

▲ 옛 평택농악
조선 고종 4년(1867년) 경복궁 근정전 앞마당. 흥선대원군은 경복궁 중건을 기념해 건축에 참여했던 석공과 목수 등 기술자들을 불러 위안잔치를 펼친다. 분위기가 한창 달아오를 무렵 ‘진위남사당’ 공연이 시작되고 왕의 초청을 받은 일꾼들은 푸진 음식과 흥겨운 음악에 더할 나위 없는 행복감에 젖어들게 되고 진위남사당 공연에 맞춰 어깨를 들썩인다. 이날 경북궁 건축 위안공연은 성공적이었고 흥선대원군은 흥을 한껏 돋워 분위기를 최고조로 올린 진위남사당을 불러 ‘진위군대도방권농지기’라는 농기都大房旗와 3색 어깨띠를 하사하고 상쇠 김덕일에게 ‘오위장五衛將’ 벼슬을 내려준다. 진위남사당이 나라를 대표할만한 실력을 갖췄음을 왕이 인정해 상쇠에게 벼슬을 내린 일대 사건이었다.

그로부터 147년이 흐른 2014년 9월 19일 저녁 광화문광장. ‘2014 궁중문화축전’의 개막을 알리는 전야제 첫 공연으로 ‘평택농악’이 무대에 오른다. 광화문을 배경으로 한 무대 위에서 화려한 조명의 불빛을 받은 평택농악은 웃다리농악의 역동적 판굿과 버나와 무동놀이의 긴장감으로 많은 관객들의 손에 땀을 쥐게 한다. 인간탑을 쌓은 ‘오무동 곡마단’이 펼쳐지자 객석에서는 탄성과 함께 박수가 쏟아지고 외국인 관람객들은 원더풀을 연호한다. 웃다리 평택농악에서 시작된 한국인의 혼魂이 세계인과 어우러져 흥興이 되는 순간이다. 이날 많은 초청 공연단 가운데 평택농악은 단연 돋보이는 명품공연을 선보여 공연을 마친 후에도 긴 여운을 남겼다.

척박한 땅·풍랑, 민속신앙 성행
굿음악은 전통예인 길러낸 토양

▲ 평택농악 무동놀이(아산 외암리민속마을)
평택은 우리나라의 지형적 특성과 같은 동쪽에 산이 집중된 반면 서쪽으로 가면서 평야와 해안에 접한 동고서저東高西低의 지형을 갖고 있다. 특히 산업도 근현대 활발히 진행됐던 간척사업과 평택호방조제 축조가 이뤄지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동쪽 지역은 농업, 서쪽 지역은 어업을 생업으로 했던 동농서어東農西漁의 산업구조를 띠고 있었다.
<조선왕조실록> 등 기록에 의하면 평택은 해일과 홍수·가뭄·우박·바람 등의 자연재해가 잦은 지역으로 재해가 발생할 때마다 사람은 물론 농작물과 염분·어전·배 등의 피해가 매우 심했다.
농업과 어업은 기상환경과 자연재해의 영향을 크게 받았기 때문에 평택사람들에게는 기원과 축원의 문화가 발달했으며 평택 동북부지역에서는 풍년 농사를 위한 두레굿과 도당굿·당제·줄다리기가 성행했고, 서부 해안지역에서는 풍어와 해상안전을 위한 풍어제와 도당굿·당제가 민속신앙으로 발달해왔다.
이처럼 잦은 자연재해를 기원과 축원의 문화를 통해 극복하기 위해 평택에서는 남사당과 농악·민요·도당굿·줄다리기·거북놀이 등 공동체 민속 문화가 성행했다. 다양한 분야의 공동체 놀이와 민속신앙은 전통 예인들이 활동하기에 좋은 환경이 됐으며 이로 인해 평택에서는 오래전부터 국보급 예인들이 많이 배출됐다.
▲조선후기 8대 명창으로 중고제의 명인 모흥갑 ▲조선후기 대금 시나위로 명성을 떨친 김부억쇠 ▲조선후기 5대 남사당패인 진위남사당을 일으킨 유 씨 가문 ▲남사당 꼭두각시 예능보유자 송창선 ▲웃다리지역을 대표하는 평택농악 예능보유자 최은창·이돌천 ▲국악 현대화의 선각자로 해금 시나위 예능보유자 지영희 ▲경기도당굿 대금 시나위 명인으로 동령제 시나위 창시자 방용현 ▲경기도당굿 남양제 대금 시나위 명인 방돌근 등 수많은 전통예인들은 이 땅의 전통문화를 지키며 살아오다 생을 마감한 평택의 예인들이다.
지금도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 평택농악의 김용래 예능보유자는 물론 6명의 청년들로 구성된 국내 최고의 타악그룹 ‘진명’ 등 폭넓은 세대의 많은 예인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해오고 있어 평택은 가히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예향藝鄕의 고장’이라 할 수 있다.

평택, 기악분야 예인들 활동 두각
진위남사당 명맥 평택농악으로 이어져

▲ 평택농악 판굿(서울 남산골한옥마을)
전통예인의 고장 평택은 특히 민속신앙을 기틀로 한 굿음악과 평택농악 등의 기악분야에서 예인들의 활동이 두각을 나타냈다.
특히 평택농악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전국 5대 남사당 놀이패인 ‘진위패’를 창시한 유세기의 부친과 유세기는 1860년대 이전부터 남사당을 키워왔다. 농악과 시조에 매우 능해 <원형 시조 창법>을 발간하기도 한 유세기는 일제강점기 안성경찰서에 재직하면서 유일하게 사당패를 허가해줘 전국 사당패들이 평택·안성지역에 집중적으로 이주하게 했으며 초대 한국농악협회장을 맡아 우리 농악을 재건하는데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두레굿과 걸립굿의 대명사로 불리는 평택농악을 지금과 같은 편제로 육성한 최은창崔殷昌·이돌천李乭川 명인은 평택농악을 웃다리지역을 대표하는 농악으로 키운 장본인으로 그 공로를 높이 평가받고 있다.
팽성읍 원정리에서 태어난 최은창 명인은 출생 직후 평궁리로 이주해 평궁리 둥기래패 상쇠에게서 꽹과리를 배워 16세 때 두레패 꽹과리를 쳤고, 성인이 되면서 마을단위를 벗어나 촌걸립을 하는 전문연희패와 절걸립패에 몸담았다 독립해 직접 절걸립 행중을 꾸려 활동을 했다. 그러면서 장고잽이로, 비나리꾼으로, 쇠꾼으로 이름을 날리게 됐다.
최은창 명인은 1980년 평택 평궁리 사람들과 평택·안성·천안·서울 등지에서 불러온 전문연희패 출신들로 평택농악단을 꾸려 그해 열린 ‘제21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 경기도 대표로 참가해 특별상을 받은 것을 계기로 1985년 평택농악을 웃다리지역을 대표하는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에 지정받아 오늘에 이르게 한 공로자다.
평택은 질박한 서민의 정서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예인을 껴안을 줄 알고 그들이 터를 잡아 생활하도록 배려할 줄 아는 문화적 토양을 지닌 고장이다. 이러한 토양을 바탕으로 올 11월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앞두고 있는 평택농악이 전통 보존과 체계적 지원 속에 뿌리내리고 세계인의 사랑을 받으며 번창할 수 있도록 우리 모두가 힘을 모아나가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평택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